기업 생산 활동을 가늠하는 산업용 전력 판매량이 8개월째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세계 경기가 회복되면서, 수출관련 업종의 전력 사용량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지난달 산업용 전력판매량이 작년 같은 달보다 11.6% 늘어난 192억 킬로와트를 기록하면서, 여덟달째 두 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습니다.
6월 한 달간 전체 전력판매량이 작년 같은 달보다 8.9% 증가한 338억4천만 킬로와트로 집계된 가운데, 산업용 전력이 전체의 56.8%를 차지하며 전력수요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했습니다.
정부는 세계경기가 호조를 보이면서 올 6월 수출이 작년보다 32.4% 상승함에 따라, 관련 산업의 전력사용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기계장비와 자동차 업계의 전력사용이 20% 이상 늘었고, 철강과 반도체 산업의 전력수요도 두 자릿수의 증가세를 보이는 등 수출 주력업종의 전력사용이 대폭 늘어났습니다.
팽성일 기계산업진흥회 정책조사팀 과장
“과거보다 생산현장 분위기가 매우 좋다. 중국 등지의 건설수요 증가하면서, 장비 생산이 늘어났다."
올 3분기에도 이 같은 수출호조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산업용 전력판매는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KTV 안건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429회) 클립영상
- "하반기 금융정책, 서민·中企 지원 초점" 1:40
- 지역형 예비 사회적기업 1천840개 육성 2:07
- 정 총리 "여름방학 결식아동 급식 지원" 1:42
- 정운찬 총리, 아동성폭력 대책 현장 방문 0:52
- 이 대통령, 스폰서 특검에 민경식 변호사 임명 0:24
- 정정길 실장 "자부심 갖고 살아 갈 것" 0:36
- 캠벨 차관보 "북 비핵화 수용시 대화용의" 0:40
- 전자발찌 살인범까지 확대 시행 1:44
- 이 대통령 "관광산업은 일자리 창출하는 미래산업" 1:48
- 관광, 레저산업 육성…외국인 관광객 1천200만명 유치 1:48
- 3대 수출품, 선박·휴대전화·반도체로 재편 0:28
- 美 쇠고기 수입 전년 대비 66% 증가 0:24
- 수출 호조로 산업용 전력판매 지속 증가 1:43
- 추석 이전 범부처 물가안정대책 마련 2:19
- 농업, 첨단기술과 만나 안전성 확보 2:11
- 상반기 위조지폐 적발량 5년새 최소 1:21
- 자동차 부품 '오해와 진실'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