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부터 급여를 받는 노조전임자수를 줄이는 '타임오프제'가 시행된지 한 달이 지났는데요.
단체협약을 새로 체결한 대다수의 사업장에서 전임자 수를 대폭 줄이는 등 타임오프가 빠르게 정착하고 있습니다.
법정한도에 따라 노조전임자 수를 제한하는 '타임오프제'가 시행된지 한 달.
일부 노동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타임오프제는 산업현장에서 빠르게 정착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타임오프가 전면 시행된 지난달 첫째주만 하더라도 타임오프 도입률은 27%대에 불과했지만 매주 적용 사업장이 늘면서, 현재는 64%대에 이르는 사업장이 타임오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한 달만에 사업장 10곳 중 여섯곳이 타임오프를 적용하고 있는 셈입니다.
정부는 타임오프 도입을 합의한 사업장 860여 곳 가운데 96%가 전임자 수를 줄였다면서 타임오프제도의 연착륙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단협을 체결해야 하는 100인 이상 사업장 1350곳 가운데, 면제한도를 초과한 사업장은 민주노총 금속노조 소속 사업장과 보건의료노조 등 33곳으로 집계됐습니다.
경영계는 타임오프제 시행으로 노사간 진통은 따랐지만, 제도가 정착되면 노사관계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남용우/ 경총 노사대책본부장
“일부 기업의 경우에 불법적인 합의나 노조가 과도한 요구를 하면서 불법적인 투쟁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러한 불법이 방치된다면 법이 형의화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또 내년부터는 사업장 내 복수노조가 허용되기 때문에 노사관계의 큰 해악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됩니다.”
정부는 법정한도를 초과해 단체협약을 체결하는 사업장엔 시정명령을 내리는 등 편법.부당 노동행위에 대해선 사법처리할 계획입니다.
또 법 시행이후 첫 임금이 지급되는 이번달부터는 대규모 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타임오프를 준수하고 있는지, 집중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타임오프제 시행이 노조 자율성을 높이고 새로운 노사관계를 형성하는 첫 단추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441회) 클립영상
- "약속된 주요 국책과제, 내실있게 추진" 2:07
- 타임오프 시행 한 달…빠르게 정착 2:32
- 中企 76% "컨설팅, 비용부담이 걸림돌" 2:06
- 상반기 中企제품 공공구매 46조3천억원 0:21
- 국제우편 위조서류 반입 차단 강화 1:35
- '전국 가마솥더위' 폭염경보·주의보 발령 0:27
- 북한군 "서해 훈련에 물리적 타격으로 대응" 0:32
- "온도 상승 없어 '1번' 글씨 안지워져" 1:43
- 軍, 임진강 사흘째 지뢰 수색…장남교 주변 통제 0:25
- 2012학년도 대입전형, 수시모집 선발 확대 1:52
- 교과부, 자율고 취소 시정 조치 2:01
- 아파트 분양 급감, 미분양은 소폭 감소 1:43
- 노숙인 결핵 유병률 일반인의 23배 2:01
- 학습보조 인턴교사 3천명 추가채용 0:21
-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해외 수출 지원 0:22
- 한국 수출 '톱10 진입'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