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컨설팅팀이 갖춰진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비용부담 때문에 제대로 된 자문 한번 구하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중소기업 대책과 관련해, 관계부처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인력과 노하우가 부족하기 때문에, 회계와 법무, 노무 등의 문제를 회계법인이나 로펌에서 별도로 자문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시설관리나 전산, 마케팅 등은 외부 용역업체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문제는 높은 비용부담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중소기업 300곳에 물었더니, 응답기업의 75.7%가 컨설팅과 아웃소싱이 꼭 필요하지만 높은 비용부담이 걸림돌이라고 답했고, 기업의 비밀유출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이 올바른 생존전략을 짤 수 있도록, 정부가 준비중인 중소기업 대책에 컨설팅 비용부담을 낮추는 방안이 고려돼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경상 /대한상공회의소 기업정책팀장
"중소기업의 경우 환경변화 대응력이 약해 74.7%의 기업들이 채 10년을 생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기업특성에 맞는 장단기 경영컨설팅을 받아 올바른 생존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강도 높은 중소기업 대책을 바라는 각계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관계부처는 물론 대기업들의 발걸음도 빨라졌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불공정한 하도급거래 손질을 위해 '5대 제도개선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지식경제부는 산업단지공단처럼 하도급 업체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에, 중소기업 상담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런가 하면 포스코에 이어 삼성전자, 엘지전자 등 대기업들도 정부가 요구하는 상생협력 방안의 일환으로, 1차 협력업체의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442회) 클립영상
- 군, 내일 서해에서 합동 해상 기동훈련 실시 1:58
- 美 "北 더 이상 도발행동 말아야" 0:34
- 유명환 장관 "美 대북 추가제재 2주내 발표" 0:31
- 경찰, 경비업체 초등학교 의무순찰 법제화 추진 0:36
- 한약재 불법 첨가 식품 제조·판매 업자 적발 0:35
- G20 경호·경비, 사상최대 5만명 투입 2:05
- 5~6등급 저소득자도 미소금융 지원 0:31
- 소득·재산 많으면 장기전세 입주 불가 0:35
- 美 하원의원 101명 한미FTA 지지 서명 0:31
- 쌀·배추김치 원산지 표시 전면 확대 2:07
- 中企 76% "컨설팅, 비용부담이 걸림돌" 2:05
- 상반기 46조3천억원 中企제품 공공구매 1:38
- 문화바우처 사업, 도서 구입까지 확대 0:39
- 교포·외국인 대학생, 초등 영어강사로 배치 0:33
- '희망드림 학자금' 신청하세요! 0:36
- 추석 열차승차권 18∼19일 예매 0:20
-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상용화 '눈앞' 1:58
- 국민연금 임의가입 전년 대비 5배 이상 급증 0:30
- 복지부, 1/2잔 건전 음주 캠페인 실시 0:33
- 6·25 60주년 기념 뮤지컬 '생명의 항해' 제작발표회 2:31
- '친환경 농성'의 두 얼굴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