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입니다.
운이 좋으면 한번에 목돈이 생기고, 운이 없더라도 수익금이 좋은 곳에 쓰인다는 생각에 위안이 되는 한장의 티켓.
바로 복권인데요.
하지만 거액의 당첨금을 물쓰듯이 다 써버리는 경우도 많아서, 인생대박이 아닌 인생쪽박의 지름길이라고 비판받기도 합니다.
이런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부가 제도 개선에 나선 끝에, 복권 당첨금에 관한 관련법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는데, 그 대표적인 내용을 보면 이렇습니다.
먼저 앞으론 미국이나 캐나다처럼 당첨금을 일시불 외에 연금이나 분할로도 지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거액의 당첨금을 일거에 소진해버리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섭니다.
또 경륜이나 경마, 스포츠토토 등의 당첨액 소멸시효가 모두 1년인데 복권만 180일이었던 것을 개선해, 복권도 1년 안에 찾아가면 되도록 바꾸기로 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앞으론 신용카드로는 복권을 구입할 수 없게 됩니다.
실제로 작년에 사무직 근로자보다 자영업자와 노동 근로자 등, 비교적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의 복권 구매 비율이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카드를 통한 복권 구매가 금지되면, 저소득층이 과도하게 복권을 구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렇다면 복권 사업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익금은 얼마나 되고, 또 어디에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요.
올해 상반기 복권판매 실적은 모두 1조2천 400억원이었는데, 이 가운데 당첨금과 판매·위탁 수수료 등 사업 경비를 제외하고, 5천100억원 가량이 수익금으로 남았습니다.
이 수익금 가운데 저소득층 주거안정과 취약계층 지원 등 공익사업에 2천400억원이 쓰였고, 지자체 등 10개 법정배분 기관에 1천400억원이 지원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번 법 개정은 복권 구매자의 선택권을 늘려 권익을 강화하고, 과도한 구입을 막아서 사행성과 중독성을 예방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습니다.
개정된 법이 취지에 맞게 잘 안착돼서, 복권이 일회성 '인생대박'이 아닌 '인생안정'의 버팀목으로 활용되길 기대해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430 (7회) 클립영상
- 2020년까지 방산 수출 40억 달러 달성 0:43
- 김 총리 "채소류 가격안정 근본대책 마련" 2:26
- 최석영 대표 "한미FTA 내년 7월 발효 목표" 0:29
- 현인택 장관 "통일재원 정부안 내년 상반기 마련" 0:39
- 37명 방북 상봉 준비…내일 최종 명단 확정 1:23
- "국민 10명 중 9명 G20 국가 위상에 긍정적" 1:49
- 경주 G20회의, 주요국 환율 갈등 조율 1:41
- G20 기간, 군사대비 태세 '최고수준' 격상 1:19
- 전문대·특성화고 나오면 바로 자격증 준다 0:30
- 종합병원 비선택진료의사 늘린다 0:33
- 도로기준 '새 주소' 2012년 본격 적용 2:10
- 교부, 멕시코 2개주 '여행자제'로 경보등급 높여 0:39
- 한지수 씨, 외교부에 감사의 뜻 전해 0:35
- "4대강 중단 도민 뜻 왜곡, 공사 재개해야" 4:23
- 초중고 99.9% 방과후 학교 운영 1:44
- 수학여행 뒷돈 등 비리 초등교장 9명 파면 0:35
- 불법 다이어트 제품 제조·판매업자 적발 0:39
- '인생대박' 복권, '인생안정' 수단으로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