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발표됐던 제 2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이 오늘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됐습니다.
1차 계획기간보다 79% 증가한 75조8천억원이 투입돼 출산율 회복과 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쓰이게 되는데요.
먼저 저출산 분야 기본계획의 핵심 내용을 전해드립니다.
제 2차 저출산기본계획 기간 5년동안 투입되는 재정규모는 75조 8천억원.
이중 저출산 분야에만 절반 이상인 39조 7천억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우선 50만원 정액으로 지급되던 육아휴직급여는 100만원 한도내에서 휴직전 임금의 40%까지 지급됩니다.
다만 휴직급여 중 15%는 복귀 후에 지급하도록 해 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을 막을 방침입니다.
보육비 전액지원 대상도 현행 소득하위 50%에서 하위 70%까지 늘어납니다.
다문화가족의 경우에는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보육료 전액이 지원됩니다.
시안발표 당시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분야에서는 보완책이 마련됐습니다.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고용주와 근로자가 합의한 경우 육아휴직기간을 근로계약기간에서 제외하고 그 기간만큼 근로계약 기간을 연장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신혼부부의 주거부담을 덜기 위해 근로자.서민 전세자금 대출 소득요건도 3천만원에서 3천5백만원 으로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직장보육시설의 설치기준도 완화됩니다.
기존에는 3층 이하에만 설치할 수 있었던 보육시설을 재해대비 시설을 확충한 경우에는 4층 이상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이밖에 경로당이나 주민자치센터, 아파트 내 도서관 등 지역사회의 유휴시설을 활용해 `공동육아나눔터'를 설치하는 것도 2차 계획에 새롭게 포함됐습니다.
KTV 박성욱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430 (12회) 클립영상
- 저출산·고령화 극복 75조 8천억원 투입 2:13
- 2015년까지 노인일자리 30만개로 늘린다 1:55
- 초등생 지난해보다 17만명 줄었다 0:36
- 이 대통령 "시행령 관련 규제 먼저 정리" 1:56
- 대·중소 파트너로 묶어 생산성 향상 1:50
- 산모·신생아도우미 부족예산 35억원 지원 0:37
- 은행 대출 등 1천400개 민원신청 서류 대폭 축소 0:37
- 2012년까지 농어촌분야 사회적기업 100개 육성 0:23
- 지방자치단체 위원회 대폭 '손질' 0:29
- 전국 기습한파…농작물 관리 주의 0:34
- 시간강사, 법적 교원지위 부여 2:03
- "4대강 국제적 명소…국민 삶 여유" 1:39
- 이 대통령, 외교부 2차관에 민동석 내정 0:50
- "한미FTA 실무협의, G20 전 타결돼야" 0:34
- 출입국 안전관리 24시간 체제 전환 1:45
- 민간 제화업체도 전투화 납품 가능 0:32
- 소비자 체감경기 3개월째 하락세 0:24
- 제4차 재해경감 아시아각료회의 개막 0:28
- ODA, 국격 맞게 선진국 수준으로 개편 2:50
- 10분만 투자하면 정책이 바뀝니다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