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발표됐던 제 2차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이 어제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됐습니다.
1차 계획기간보다 79% 증가한 75조8천억원이 투입돼 출산율 회복과 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쓰이게 되는데요.
먼저 저출산 분야 기본계획의 핵심 내용을 전해드립니다.
제 2차 저출산기본계획 기간 5년동안 투입되는 재정규모는 75조 8천억원.
이중 저출산 분야에만 절반 이상인 39조 7천억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우선 50만원 정액으로 지급되던 육아휴직급여는 100만원 한도내에서 휴직전 임금의 40%까지 지급됩니다.
다만 휴직급여 중 15%는 복귀 후에 지급하도록 해 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을 막을 방침입니다.
보육비 전액지원 대상도 현행 소득하위 50%에서 하위 70%까지 늘어납니다.
다문화가족의 경우에는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보육료 전액이 지원됩니다.
시안발표 당시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분야에서는 보완책이 마련됐습니다.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해서는 고용주와 근로자가 합의한 경우 육아휴직기간을 근로계약기간에서 제외하고 그 기간만큼 근로계약 기간을 연장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신혼부부의 주거부담을 덜기 위해 근로자.서민 전세자금 대출 소득요건도 3천만원에서 3천5백만원 으로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직장보육시설의 설치기준도 완화됩니다.
기존에는 3층 이하에만 설치할 수 있었던 보육시설을 재해대비 시설을 확충한 경우에는 4층 이상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했습니다.
이밖에 경로당이나 주민자치센터, 아파트 내 도서관 등 지역사회의 유휴시설을 활용해 `공동육아나눔터'를 설치하는 것도 2차 계획에 새롭게 포함됐습니다.
KTV 박성욱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닝 와이드 (12회) 클립영상
- 적십자회담 이틀째…상봉 정례화 이견조율 1:38
- 저출산·고령화 극복 75조 8천억원 투입 2:21
- 2015년까지 노인일자리 30만개로 늘린다 1:47
- 국민 47% "부모 노후 부양, 사회 공동책임" 1:36
- 3분기 경제성장률 4.5% 증가 0:30
- 이 대통령 "시행령 관련 규제 먼저 정리" 1:55
- 대·중소 파트너로 묶어 생산성 향상 1:50
- 규제 372건 푼다…인·허가제도 '원칙 허용'으로 개선 2:15
- 이 대통령 "G20, 더불어 발전해야" 2:09
- 차량·숙소·통역 등 최대 규모 지원 2:15
- '고강도 3세대 전자발찌' 본격 보급 1:44
- 이 대통령, 틴레이 부탄 총리 접견 0:30
- 김 총리 "민생관련 법률 정기국회 통과해야" 1:52
- 희망키움통장 참여 1만 가구 돌파 0:27
- 은행 대출 등 1천400개 민원신청 서류 대폭 축소 0:35
- 초등생 지난해보다 17만명 줄었다 0:32
- 고교야구, 내년부터 권역별 리그제로 바뀐다 2:36
- 아세안+3 정상회의 의미와 전망 [정책&이슈] 14:27
- 한국화단의 외교관, 서양화가 박광진 화백 [나의 삶, 나의 예술] 6:43
- 가을 성수기를 맞다! 지리산국립공원사무소 [정책, 현장을 가다] 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