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책엔 7백만명에 이르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를 대비하는 정책들도 발표됐는데요.
2015년까지 노인일자리를 30만개로 확대하고, 새로운 사업장의 퇴직연금제 의무화를 골자로 한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계속해서 전해드립니다.
노인 일자리가 단계적으로 확대됩니다.
정부는 올해 약 18만개에 머물고 있는 노인 일자리를 2015년까지 30만개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노인인력개발원의 기능이 강화되고, 고령자 인재은행도 확대됩니다.
베이비붐 세대인 중고령자가 계속 일할 수 있도록 근무 여건도 개선됩니다.
새로 생기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퇴직연금제를 의무화하고,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소득공제를 400만원으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임금피크제 지급대상은 54세에서 50세로 하향 조정되고 지원연한을 최대 10년으로 확대해 지급액을 더 늘릴 계획입니다.
박용주/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정책실장
“약 700만 명에 이르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라는 높은 파고에 대응하는 것도 시급한 과제입니다. 우선 중고령자의 일자리를 확 보하기 위해 재고용과 전직 그리고 창업지원을 강화하고, 또한 공 적·사적 연금제도를 내실화하겠습니다.”
고령자의 노후 생활을 위한 사회적 기반도 확충될 계획입니다.
우선 고령자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보금자리주택과 장기공공임대주택 중 5%를 고령자용 주택으로 공급할 방침입니다.
고령자를 위한 철도 지하철 승강설비도 확충하고, 전국 시내버스의 50%를 저상버스로 보급할 계획입니다.
또 무배우자 여성노인의 소득보장 강화를 위해 유족연금 급여수준을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KTV 팽재용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430 (13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산단, 생활수준 맞게 시설 바꿔야" 0:46
- 노후산업단지, 선진 산업단지로 재창조 2:54
- 3분기 경제성장률 4.5% 증가 0:31
- 근로자 1천373만명···0.7% 증가 0:19
- 北 "쌀 50만 톤·비료 30만톤" 요구 0:48
- '고강도 3세대 전자발찌' 본격 보급 1:43
- 이 대통령 "시행령 관련 규제 먼저 정리" 1:56
- 대·중소 파트너로 묶어 생산성 향상 1:51
- 규제 372건 푼다···인·허가제도 '원칙 허용'으로 개선 2:13
- 이 대통령, 틴레이 부탄 총리 접견 0:33
- 이 대통령, 인도네시아에 지진해일 위로 전문 0:28
- 이 대통령 "G20, 더불어 발전해야" 2:12
- 차량·숙소·통역 등 최대 규모 지원 2:17
- 저출산·고령화 극복 75조 8천억원 투입 2:22
- 2015년까지 노인일자리 30만개로 늘린다 1:49
- 서민 위한 정책 서민이 만든다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