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부터 시작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오늘 오전 작별상봉을 끝으로 마무리 됐습니다.
이산가족들이 함께 한 시간은 2박 3일간 11시간 남짓.
60년 이산의 한을 달래기에는 짧기만 한 시간이었습니다.
60년 만에 꿈에 그리던 혈육과 감격적으로 만나 재회의 기쁨을 나눴던 남과 북의 가족들.
이별을 앞둔 마지막 작별상봉에서 가족들은 서로를 부둥켜안고 눈물을 흘리면서 헤어짐을 아쉬워했습니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며 서로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작별 상봉이 끝난 뒤 버스에 올라탄 어머니와 버스 밖에서 손을 흔드는 아들이 ‘고향의 봄’을 합창하고 “기쁘다”고 외쳤지만 얼굴은 눈물범벅이 돼 있었습니다.
남측 가족들을 태운 버스가 시동을 건 뒤에도 북측 가족들은 좀처럼 버스에서 떨어지지 못하고 손수건으로 쏟아지는 눈물을 닦아냅니다.
북측 가족들을 뒤로 하고 남측 이산가족 상봉단은 금강산 지구를 떠나 육로로 귀환했습니다.
지난달 30일부터 두 차례에 걸쳐 각각 2박3일 일정으로 진행된 이번 상봉행사에서는, 1차 상봉에서 남측 436명.
북측 97명, 2차 상봉에서 남측94명. 북측 203명 등 모두 830명의 남북 이산가족이 60년 만에 재회의 기쁨을 나눴습니다.
당초 남북에서 각각 100명씩 상봉이 이뤄질 예정이었지만 고령으로 인한 건강상의 이유로 9명은 상봉을 포기했습니다.
남북 적십자는 오는 25일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를 논의하기 위해 2차 회담을 열 예정입니다.
KTV 김현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430 (20회) 클립영상
- 한-미, FTA 막바지 협의 착수 1:38
- 백악관, '자동차' 진전시 FTA 타결 시사 0:21
- 김성환 장관 "자동차 부문 협의 여지 있어" 0:38
- 윤증현 장관, APEC서 G20 최종 조율 1:33
- 경찰, 테러경보 '경계' 발령 2:00
- 서울 G20, 곳곳서 한국문화 알린다 1:41
- "국책사업 계속돼야" 하창환 합천군수 6:46
- 한국 '삶의 질' 세계 12위…14단계 상승 0:38
- 정부합동 '재한외국인 고충상담·무료진료' 실시 0:19
- 이산가족 상봉행사 종료 '830명 재회' 2:34
- 문화재청 "광화문 현판 균열은 자연현상" 0:31
- 자금유출 의심 중견기업 세무조사 1:52
-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 탈취 방지 1:42
- '기업하기 좋은 한국' 가속 붙이려면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