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장관이 일정을 연장해 내일도 협의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한미 FTA 최종 합의까지 진통이 예상됩니다.
이틀째 회담에서도 한미 통상장관은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
결국 회담은 하루 더 연장됐습니다.
일단 미국이 요구한 자동차 연비와 온실가스 배출기준 완화 문제는 큰 틀의 합의를 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기준을 얼마나 완화할지에 대해선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기준이 미국의 소규모 자동차 제작자에게 진입 장벽이 되서는 안되겠지만, 기준을 완전히 면제해주긴 어렵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최석영 외교통상부 FTA교섭대표
“소규모 제작자에 대한 별도 조치는 우리 환경기준을 완전히 면제해 주는 것이 아니라 기준 등 일정 부분 완화시켜주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미국은 또, 한국 자동차 업계가 제3국의 부품을 수입해 완성차를 수출할 때 돌려받는 관세 환급제도의 축소와, 픽업트럭에 대한 관세 철폐 시기 연장 등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쇠고기 문제는 아직까지 협의되지 않았습니다.
한편, 최석영 대표는 현재 협의가 진행중인만큼 내용을 자세히 밝히기 어렵다며, 상황이 매우 유동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따라서 11일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 전까지 막판 조율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830 (2010~2011년 제작) (21회) 클립영상
- 비즈니스 서밋, 민·관 협력 권고안 마련 1:42
- 이 대통령, 연쇄 정상회담 'G20 외교 시작' 2:01
- 세계 언론, 서울 G20 잇따른 기대 표명 1:29
- 서울 G20 역대 최대 미디어센터 가동 2:14
- G20 정상 배우자 문화행사 미리 본다 2:04
- G20 성공기원 행사 잇따라 열려 2:08
- 이 대통령, 국제상공회의소 회장단 접견 0:43
- 경찰, G20 대비 사이버테러 일제검색 0:29
- 佛 "서울 G20, 훌륭한 준비에 감탄" 0:31
- "UAE 파병, 비분쟁 지역서 군사협력" 1:53
- 한미 통상장관회담 하루 연기 '이견 조율' 1:28
- 시민과 함께 하는 4대강 숲 가꾸기 1:44
- 입학장사 11곳 적발·입학대기자 명단 공개 1:43
- '청소년 연예인', 성보호·학습권 법제화 추진 1:49
- 정부, '농가·여행객 AI 방역 협조' 당부 1:28
- 복지부, 빈곤층에 맞춤형 자활경로 제공 1:59
- 유인촌 장관 "씨네마텍·미디어텍 국가가 운영" 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