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종사자가 늘어나면서 재해율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정부는 재해가 자주 발생하는 서비스업종 7곳을 선별해 재해예방 대책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 기준 국내 서비스업 사업장은 모두 97만 곳.
산업구조 중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커져 전체 근로자의 43.4%가 서비스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고용형태가 다양한 서비스업의 근로자수가 급증하면서 소규모로 운영되거나 기술지원이 부족한 서비스업 사업장의 재해율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01년만 해도 전체 사업장의 24%였던 서비스업 재해율이 지난해에는 35%까지 늘어나 제조와 건설업을 추월한 겁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서비스업의 재해율을 낮추기 위해 종합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서비스업 가운데 산업 재해가 자주 일어나는 음식·숙박업과 도·소매업 등 7개 업종을 선정해 체계적인 관리에 나선다는 겁니다.
우선 한국음식업 중앙회와 주택관리사 협회 등의 직능단체에 안전보건 전담조직반을 만들어 재해 예방활동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대재해가 일어나거나 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2배 이상 발생하는 사업장은 사전에 재해발생 요인을 제거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안전보건진단명령제'를 내년부터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이밖에도 정부는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배달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업체에 안전대책을 촉구하는 한편, 서비스업 특성을 반영하는 안전보건 기준을 신설하는 등 기존의 산업안전보건법을 서비스업으로 확대하는 개정작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닝 와이드 (23회) 클립영상
- 세계의 관심 속 막 오른 서울 G20 3:33
- 이 대통령, 한미, 한중 정상회담 '환율중재' 1:43
- "개발 격차 해소, 저개발국 민간투자 필수" 1:26
- 글로벌 CEO들 "보호무역주의 부활 경계" 2:19
- 교황 "한국, G20서 최선 해결책 강구" 0:29
- 이 대통령 "G20, 가난한 나라 외면해선 안돼" 1:34
- "국제대회 유치, 개발도상국에 좋은 선례가 될 것" 2:16
- 녹색팬스 설치…본격 경계 돌입 1:49
- G20 성공 위해 자원봉사자들이 뛴다 1:50
- 한미FTA 협의 마무리…절충 계속 1:26
- 경남도민협 낙동강 사업 찬성운동 전개 0:33
- 내년부터 대교협이 대학 평가·인증 0:34
- 지자체 특별교부세 타사업 전용 '제동' 0:29
- "장진호 전투 '고귀한 희생' 영원히 기억" 2:14
- 고용노동부, '서비스업 재해' 체계적 관리 2:12
- 고교야구, 주말 리그제로 전환 [정책&이슈] 18:56
- 청동 투구 [한국의 유물] 4:15
- 평생학습계좌제로 학습이력 관리 [정책 플러스] 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