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 원전수주 이후 우리 원전에 대한 세계 각국의 관심이 높습니다.
한국형 원전에 관심이 큰 6개국 정부 관계자들이 대거 우리나라를 찾았습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베트남, 남아공, 태국, 터키에는 아직 원자력 발전소가 없습니다.
현재 원전도입 타당성 조사가 진행중인 태국은, 2014년 시공을 목표로 내년 중에 원전협상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니왓 노파랏 / 태국 전력청
“태국정부는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많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대체에너지, 청정에너지 또 보다 안정된 에너지를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베트남 정부도 총 14기의 원자로 건설을 계획중이며, 2030년까지 원자력 발전량을 10%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입니다.
판 투옌 / 베트남 에너지연구원
“(베트남은) 2015년 이후에는 에너지와 관련해 해외에서의 수입이 많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우리 정부는 실제로 이번 포럼 참석국가들을 비롯한 여러나라와 원전수출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지난해 아랍에미리트 원전수출 이후, 또 한 번의 낭보를 기대하게 만드는 대목입니다.
강경성 / 지식경제부 원전수출과장
"우리 입장에서는 잠재적인 고객인 셈이죠. 이들 나라들이 원전 도입하는데 우리나라의 경험과 노하우를 잘 설명 드리고.."
포럼 참석자들은 창원의 두산중공업과 울산 신고리 원전 건설현장을 시찰할 예정이며, 특히 터키 관계자들은 대림산업과 현대건설, 두산중공업과 별도의 상담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32회) 클립영상
- 北, 연평도 포격 청와대 브리핑 0:40
- 北, 연평도 무력 도발…전군 경계 태세 1:50
- 통일부, 개성공단 체류인원 신변안전 강화 1:54
- 이 대통령, 긴급 외교안보장관회의 주재 1:56
- 외교부 "가능한 외교 조치 강구" 1:38
- 주요 외신 '한반도 긴장' 긴급 타전 1:25
- 北, 연평도 포격 국방부 브리핑 6:51
- 연평도 주민 '긴급 대피' 1:25
- 연평도 상황 주민 전화연결 3:12
- 정부, 연평도 도발 경제영향 긴급 점검 1:11
- 정부, 전 공무원 비상대기령 0:31
- 北, 연평도 포격 배경과 파장은? [긴급대담] 25:14
- 국과위 상설화…위원장 '장관급'으로 개편 1:29
- 기업 순이익 64% 급증…위기 이전 근접 1:24
- 수능시험 응시 못하면 수수료 돌려받는다 2:13
- 건강보험 8개 항목 보장성 확대 1:34
- 한국형 원전 수출 유망 6개국 방한 1:52
- '요르단 원자력연구센터' 기공식 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