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개발원조 선진국 모임인 개발원조위원회 DAC에 가입한 지 오늘로 꼭 1년이 됩니다.
원조를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가 된 대한민국의 지난 1년간의 성과와 과제를 짚어봤습니다.
한국 전쟁이 끝나고 국민들은 가난과 굶주림과 싸웠습니다.
보릿고개라고 불리던 시절을 딛고 세계 10대 경제강국으로 우뚝 선 대한민국.
국제사회의 원조는 눈부신 경제성장의 동력이었습니다.
해방이후 50년 간 지원받은 공적개발 원조액은 127억 달러, 지금 우리 돈으로 70조 원이 넘습니다.
꼭 1년 전 오늘 우리나라는 OECD 개발원조위원회 DAC에 가입하며 개발도상국에 도움을 주는 나라로 탈바꿈 했습니다.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건 물론 선진국과 개도국의 가교 역할을 하며 최근 G20 정상회의에서 개발협력 의제를 주도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국민총소득 대비 원조비율은 0.1%로 DAC 24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
정부는 올해를 'ODA 선진화 원년'으로 삼고 원조 규모를 꾸준히 확대해간다는 계획입니다.
정부 무상원조의 80% 이상을 집행하는 코이카는 DAC 가입 1주년을 기념해 신임 홍보대사를 위촉하는 등 의미있는 행사도 마련했습니다.
이젠 원조액 뿐 아니라 원조의 질을 높여야 하는 정책적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원조를 받다가 주게 된 최초의 나라, 대한민국만의 노하우를 전수하면서 현지 실정에 맞게 원조를 펼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KTV 이정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34회) 클립영상
- 교전규칙 전면 보완·서해5도 전력 증강 1:58
- 군 "교전규칙, 적극적인 개념으로 발전" 1:46
- 미국 "중국, 대북 영향력 행사해야" 2:22
- 증시 완연한 안정세…차분한 경제계 1:19
- 北 도발, 수출·외국인투자 영향 없어 1:31
- 통일부 "오늘도 방북 불허" 0:26
- 김성환 장관 "북측에 책임자 처벌 요구" 2:08
- 조문행렬 이어져…"고이 잠드소서" 1:52
- 소비자 체감경기 넉달만에 오름세 1:44
- 공동모금회 수술대 오른다 1:40
-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착공식 2:15
- 중소 의료기기업체 연구개발 지원 1:35
- 개발원조위원회 가입 1년 그간의 성과는? 2:12
- 성인 3명 중 1명꼴 평생학습 참여 0:31
- G20 내 영향력 감소 막으려면 2:30
- '원조 선진국' 의미와 과제는? [와이드 인터뷰] 20:20
- 동절기 재난을 막아라! 긴급 합동안전점검 [정책, 현장을 가다] 7:17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