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소외계층 가운데서도 특히 장애인들은 문화생활을 즐기기에 많은 제약이 있는 게 사실입니다.
이들의 문화향유권 확대를 위해 문화 바우처 사업이 시행중인데요.
그 일환으로 장애인 8백여명을 위한 문화 공연이 열려 그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잔잔하고 아름다운 선율이 음악회의 막을 엽니다.
앞이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 시각 장애인 4백 명을 비롯해 이 자리에 초대된 장애인들을 위해 특별히 만든 무대입니다.
공연장은 금세 객석의 열기로 가득합니다.
신민정 / 시각 장애인
"자주 못나오는 데 감동이 큽니다."
이날은 문화 바우처 제도로 공연을 보고 있지만, 정작 장애인들에겐 1년에 단 한번 공연관람도 쉽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이동하기 어렵고, 문화프로그램 정보를 얻는 것도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경훈 / 남양주시 장애인복지관
"집밖에 나오기도 힘든데 정서적으로 큰 도움이 됩니다."
저소득층에게 문화관람비를 지원하는 문화바우처 예산은 내년에 245억원으로 올해보다 5배 가량 늘어납니다.
전용 복지카드 발급으로 운영 방식도 달라집니다.
이에 따라 대상자 확대와 더불어 접근성을 늘려가는 정책적 배려도 필요한 시점입니다.
김응진 / 한국문화복지협의회 사무총장
"문화 공연 질을 높이고, 선택권 확대하는 방안 필요하다."
문화바우처 제도 대상자는 취약계층 327만명.
이들에게 문화는 세상과 소통하는 창구가 되고 있습니다.
KTV 이정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930 (2010~2011년 제작) (36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오전 10시 대국민특별담화 0:28
- 한미연합훈련 사상 최대 규모로 실시 1:44
- 한 때 포성…서해5도 팽팽한 긴장감 1:32
- 이 대통령 "중국, 보다 공정하고 책임있는 자세 가져야" 1:52
- 청와대 "6자회담 재개 논의할 때 아니다" 0:24
- "6자긴급협의 제안 신중 검토돼야" 0:36
- 정부, 개성공단 필수 원부자재 반출 허용 0:28
- 이번주 '북 연평도 도발' 안보리 회부 윤곽 1:34
- 당정, '서해5도지원 특별법' 추진 0:32
- 한미, 내일부터 FTA 추가협상 재개 0:33
- 한국, OECD 유일 7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0:35
- 수출·소비 등 지방경기 전반적 회복세 1:30
- 대학생·농민 4대강 살리기 현장 탐방 1:51
- 국가표준 기본 방향, 국민 실생활 개선 1:25
- SSM 무한팽창 제동, 중소상인 보호 1:47
- '세계수준 연구센터', 운영관리 지침 마련 1:19
- 문화바우처로 공연 즐기세요 2:19
- 불법 고액 논술방 등 30곳 적발 0:37
- 초등교사 임용경쟁률 2.5대 1…역대 최고 0:23
- 전통시장 IT 안전관리시스템 도입 0:35
- 고소득 전문직 탈루 줄었다 2:40
-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대통령 담화문 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