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 비난 성명이 중국의 반대로 무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은 조만간 만나 중국 설득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중국의 ‘북한 감싸기’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복수의 유엔 주재 외교관들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과 핵 활동에 대해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 비난 성명이 추진되고 있지만, 중국의 반대로 무산될 위기라고 전했습니다.
안보리 이사국 대부분이 성명서에 북한을 ‘비난’하고 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문구를 넣는데 찬성했지만, 중국은 이 핵심단어의 삭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정부도 안보리 회부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김영선 외교통상부 대변인
“실질적으로 어떠한 효과적인 조치를 확보할 수 있느냐, 그런 것도 하나의 현실론적으로서 중요하기 때문에..“
다음 주 워싱턴에서 만나는 한.미.일 3국 외교장관은 중국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중국은 북한의 호전전 행동을 중지시킬 책임과 의무가 있다“ 면서 “앞으로 며칠 안에 이를 위한 다자적 협의에서 진전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해 이번 회담에서 중국 압박 전략을 논의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한편 카자흐스탄에서 만난 김성환 외교부장관과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긴밀한 한미 공조를 재확인하고,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여건 조성이 선행되야 한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북한이 도발적 행동에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고, 비핵화에 대한 진정한 의지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보이는 게 우선이라는 겁니다.
정부는 3국 공조와 별개로 러시아와도 연쇄 접촉하며 북한의 포격 도발 문제를 논의하고, 북중간 움직임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430 (36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北에 대한 강한 의지가 北 도발 억제" 0:43
- 군, 경계태세 강화…조만간 '사격 훈련' 재개 1:37
- 한미일 " '中 설득 방안' 논의할 것" 1:57
- 연평도 주민 '임시거처' 제공 1:50
- "北 도발 불확실성 상존…위기관리 강화" 1:33
- 통일부 "개성공단 방북인원 제한 완화 검토" 0:35
- 2022년 월드컵 한국유치 총력 1:57
- 한미FTA 통상장관 회담 하루 연장 '이견 조율' 0:30
- 3분기 GDP, 전년 대비 4.4% 증가 0:26
- 안동 한우농가 3곳 구제역 추가 발생 0:31
- 소상공인 동절기 자금 450억원 지원 1:19
- 물가 하락 반전…3%대 안정세 복귀 2:03
- "2012년 4대강 수질 2급수 비율 86%" 1:34
- 4인 이하 사업장도 퇴직급여제 시행 2:18
- 폭설시 교통통제 강화 1:50
- '자선냄비' 등장…"사랑을 담아주세요" 2:01
- 내년 예산 누구에게 ③ 근로자·소상공인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