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이나 경찰청 등 공공기관의 홈페이지를 가장한 가짜 사이트를 미끼로 한 신종전화금융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이런 전화를 받을 경우, 반드시 해당기관에 직접 확인해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서울에 사는 A씨는 이달 초 검찰청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으로부터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 같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A씨는 전화에서 알려준 대로 대검찰청 홈페이지에 접속해 보유하고 있는 통장의 은행명과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모두 입력했습니다.
하지만 이 사이트는 사기범들이 실제와 똑같이 만들어 놓은 '피싱 사이트', 즉 가짜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가짜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전화금융사기에 이용하는 신종 사기수법과 관련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대출광고를 한 뒤, 대출 희망자에게 금융사 상호와 유사한 명칭의 피싱 사이트로 유인해 개인정보만을 빼돌리는 경우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특히 금융사에서 대출을 명목으로 예금계좌의 비밀번호와 현금카드를 요구하는 것은 100% 사기에 해당하므로 속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고객의 통장 비밀번호나 보안카드 번호를 요구하지 않는다며 이런 전화를 받은 경우에는 개인정보를 알려주지 말고 해당기관에 사실여부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73회) 클립영상
- "규제 줄이고 투자 늘려 5% 성장 달성" 1:41
- 정부, '기초구역제도' 도입 1:41
- 4월까지 법령 486건 대폭 손질 2:08
- 취업 중심 학교 졸업생 채용시 세제 혜택 1:56
- 이 대통령 "여러 규제 신속하게 해결해야" 1:32
- 감사원, 올 상반기 공직비리 집중 감사 1:45
- 명태·갈치 40% 저렴하게 직판 공급 1:27
- 발열내의·전열기 소비자피해 주의보 1:59
- 2015년까지 스마트워크센터 50곳 확대 1:53
- 대단위 돼지 사육지 '백신' 우선 접종 1:57
- 한-덴마크, 녹색성장 협력 강화 2:38
- 여대생 ROTC "군인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1:47
- '가짜 공공기관 사이트' 조심하세요 1:38
- 대전시, 신재생에너지사업 본격 추진 1:32
- 부산 대학등록금 잇단 동결선언 0:27
- 파주시, 올해 상·하수도 요금 인상 안한다 0:26
- "자기자본비율 8%, '은행'만 적용" 1:27
- "구제역 발생 즉시 차단방역 실시" 0:43
- "지자체 188곳 이달 내 일자리 공시 예정" 0:39
- '마지막 방어선' 400만㎾를 지켜라 2:56
- '평생월급' 국민연금 바로알기 [와이드 인터뷰] 14:45
- 숨어있는 미환급금 찾아가세요 [정책 플러스] 6:27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