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입니다.
한 사람의 근로자가 얼마나 생산적으로 일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려면 GDP를 총 취업자 수로 나눈 노동생산성이라는 지표를 활용합니다.
그러니까 노동생산성이 높다는 얘기는 적게 일하고도 많은 부가가치를 만들어 낸다는 얘기가 되는데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노동생산성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할 때 아직 그 반대편에 해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은 5만 6천300 달러로 OECD 나라 중에서 스물세번째로 나타났고 특히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28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그런데 제조업의 1인당 노동생산성이 8만 4천 800달러로 OECD에서 5위를 기록한 반면에, 서비스업은 3만 4천 900달러로 18위에 해당되서 업종간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진국과 비교해보면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 미국의 80% 정도였고 일본보다는 오히려 더 높은 편이었지만, 서비스업은 미국의 절반 이하, 일본의 6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요약해 보면 우리나라 근로자들은 오래 일하지만 적게 생산하며 특히 서비스업의 낮은 생산성이 전체 노동생산성을 저하시키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정부가 출범 초기부터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을 마련해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의료와 교육, 방송, 디자인 등 고부가 서비스업을 집중 육성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OECD 국가에서 노동생산성 향상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선진국의 초입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해야 하는 우리나라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의 노력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79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석 선장 쾌유, 온 마음으로 기원" 1:36
- 선원 대피처 의무 설치···보안요원 탑승 1:39
- 구제역·AI 피해 소상공인 1천억원 지원 1:44
- 구제역 피해 지역 특산품 장터 개막 1:47
- 김 총리 "구제역 종식 위해 모든 힘 기울여야" 0:48
- 지난해 경상흑자 282억달러···역대 4번째 1:52
- "4대강 완공 땐 물 부족 해소·홍수 대비" 2:10
- 법원, 경남도 낙동강 소송 가처분 각하 0:40
- 이 대통령, 정병국·최중경 장관 임명 0:33
- 정병국 장관 "문화산업 규제 대폭 완화" 2:43
- 최중경 장관 "대·중소 동반성장 역점 추진" 1:28
- 유망 창업기업 고용 창출시 720만원 지원 1:17
- 공군 참모총장, 제공호 편대 사격훈련 지휘 0:29
- 정부, 올해 행정보조인력 1% 탈북자 채용 0:30
- 민간 5년 임대주택도 공공택지 공급 0:33
- 설 연휴 20대 운전자 사망사고 '주의' 0:35
- 다음달부터 떳다방·어묵제조업체 집중 단속 0:23
- "구제역 확산, 매뉴얼 허점 때문 아니다" 0:47
- "난방 않고도 제한온도 초과시 규정위반 아니다" 0:25
- 독거노인 '안부전화 서비스' 본격 실시 1:46
- 농어촌 뉴타운 순항···전북 고창 분양 1:44
- 이 대통령 "녹색성장의 길, 선택 아닌 필수" 1:41
- 대전시, 사회적기업 집중 육성 1:34
- '긴 노동 적은 생산' 문제는 서비스업 1:34
- 486건 법령 정비··· '5% 성장' 이끈다 [와이드 인터뷰] 22:41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