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입니다.
대기업이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무기로 삼는다면, 중소기업은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기술이 자산이라고 말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핵심기술은 한번 유출되면 그 만큼 타격도 큰데요.
문제는 보안 부문에 대한 자금과 인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우엔, 핵심기술이 빠져나가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우선 중소기업 기술 유출의 현황부터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중소기업 1천5백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봤더니, 2007년부터 작년까지 14.7%의 기업이 기술 유출로 피해를 본 경험이 있었는데요.
건당 피해액이 평균 10억2천만원에, 3년간 모두 합친 피해액은 4조원을 넘었습니다.
그런데 2008년 한 해 동안 중소기업들이 산업 기밀 보호를 위해 지출한 보안 비용은 평균 1천 951만 원에 불과했으며, 이 비용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중소기업은 4.8%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소기업 전산망에 대한 해킹이나 이메일을 통한 자료 유출을 실시간으로 막아주는, 보안관제 서비스의 구축에 나섰습니다.
관제 서비스는 민간에서도 제공되고 있지만, 사용료가 비싸서 중소기업들이 이용하기는 쉽지가 않았는데요.
정부가 올 하반기부터 무료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계획입니다.
여기에, 중소기업 기술 보호를 위한 '기술임치 제도'의 확대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기술임치제는 중소기업의 기술자료를 임치기관에 등록.보관해서, 분쟁 발생때 기술보호를 위한 증빙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기존 400여개의 임치금고를 앞으로 3천개까지 늘리기로 했습니다.
끝으로 잊지 말아야 할 사실 한 가지는, 기술보안에 대한 중소기업 스스로의 의식 개선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기술 개발은 항아리에 물을 담는 것과 같아서, 조금만 금이 가도 삽시간에 물 전체가 새어나가버리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클릭 경제브리핑 최대환이었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85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일하는 정부, 업무 최선 다해야" 1:41
- 한미FTA, 양국 서명 거쳐 국회 비준 2:00
- 한-EU FTA 동의안, 유럽의회 상임위 통과 0:34
- 국민 생활 불편 511건 고친다 1:28
- 외규장각 도서 145년만에 돌아온다 1:20
- 2015년까지 우수 교사 1만명 해외 파견 2:00
- "5% 성장 3% 물가, 정부·기업 함께 가야" 1:54
- 소형·임대 건설 연 2% 특별자금 지원 1:32
- 압류방지 통장, 저소득층 생계비 지킨다 2:06
- 올해 1인 창조기업 육성 792억원 투입 1:55
- 2020년까지 '스타 디자이너' 5인 육성 2:32
- 해외봉사로 제 2의 인생 시작 2:09
- "복지, 현장에 답이 있다" 1:51
- 광주시, '3대 난제' 풀렸다 0:49
- 오산보건소 '무료틀니 사업' 시행 0:21
- "오염 해역 조업금지수역 지정·운영" 2:15
- "산재예방 클린사업 혈세 낭비, 사실무근" 0:36
- 中企 기술유출 '철통경비 세운다' 2:25
- 해외봉사자 2만명 시대 연다! [와이드 인터뷰] 17:52
- 동절기 특별 소방안전 대책 [정책, 현장을 가다] 6:51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