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가 보급되면서 많이 사라졌지만 아직 LP가스를 쓰는 가정들도 있습니다.
정부가 서민층 8만8천여 가구를 대상으로, 노후한 LP가스 시설을 무료로 개선해 사고를 예방하기로 했습니다.
서울의 한 주택가.
도로변에 LP가스통이 방치돼 있습니다.
쓰레기 더미와 뒤엉켜 한 눈에 보기에도 위험천만해 보입니다.
가스통과 연결된 고무호스는 언제 갈았는지, 누렇게 색깔이 변했습니다.
이렇게 오래된 LP가스 시설의 경우 노후된 고무호스가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호스의 균열과 파손 등 노후시설과 취급부주의 등으로, 작년에만 모두 여든여덟건의 가스 안전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금속 배관으로 교체하면 되지만, 사용자 대부분이 저소득층이어서 25만원에서 30만원 정도의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이순임/서울 양평동
“불안하다. 아이들도 많이 지나다니고 하는데 잘못해서 건드릴수도 있으니까....”
정부가 경제적 여력이 없는 서민층의 LP가스 시설을 무료로 개선해주기로 했습니다.
올해는 기초생활수급자 8만8천여 가구가 대상입니다.
이두원 부장/한국가스안전공사
"호스로 된 노후시설을 금속배관으로 교체하고 퓨즈콕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교체한다."
4월부터 본격적인 시설개선 작업이 시작돼, 11월까지 모두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향후 차상위계층 89만 가구로도 사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재원 확보 등을 위해 관계부처와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KTV 김세로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86회) 클립영상
- "기름값·통신비 시장구조 개선, 인상 억제" 1:32
- 공정위, 유통분야 판매수수료 공개 1:27
- 2014년까지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 1:58
- 서해5도 주민 생활지원금·교육비 지급 1:52
- 군사실무회담 결렬…회담의제 합의 못해 1:27
- 정부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 원칙적 동의" 1:50
- 서민층 8만8천가구 LP가스시설 개선 1:38
- 이 대통령, '숨은 교육자 젊은이에게 희망' 2:23
- '광물자원 보고' 카메룬을 선점하라 4:35
- 신성장·국가산업 기술인재 2만명 육성 1:21
- 가온차트, K-POP 우수성 알리는 데 큰 역할 1:58
- 국제선 출입국 심사 빨라진다 0:34
- 알코올 중독 치료하는 기능성 쌀 개발 0:33
- 농어촌공사-농진청, 해외농업개발 협력 0:20
- 대전시, 중소기업 육성자금 1천700억원 푼다 1:40
- 서울시, 독거노인 주치의 서비스 확대 운영 0:25
- 창원시, '사랑의 컴퓨터 보내기' 확대 0:38
- "축산분뇨차량 구제역 감염 발표, 사실무근" 0:45
- "국립외교원 명칭, 부처간 협의 거쳐 결정" 0:31
- 닥쳐오는 식량위기 '세계는 전쟁중' 2:26
- 4대강 논란 종지부···공사 올해 끝난다 [와이드 인터뷰] 16:38
- 주부들의 새로운 희망 '여성새일센터' [정책 플러스] 6:56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