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간 판문점 우리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 군사실무회담이 진통 끝에 결렬됐습니다.
남북은 고위급 군사회담의 의제와 참석범위를 놓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남북은 이틀간에 걸쳐 군사실무회담을 열었지만 결국 고위급 군사회담 개최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회담은 오전 10시에 시작해 10시50분에 정회됐다가 오후 2시20분에 다시 시작됐으나 속개 10여분 만에 종료됐다"고 전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 "북한 대표단은 오후 2시50분 일방적으로 군사분계선을 넘어가 다음 회담 일정을 정할 수도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남북은 고위급 군사회담의 의제와 참석범위에 대한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측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을 의제로 제기하면서 도발에 대한 북한의 구체적 조치 없이는 남북관계가 진전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북측은 천안호 사건, 연평도 포격전과 함께 군사적 긴장해소를 의제를 제기하면서 천안함과 연평도 문제만을 다루자고 하는 것은 고위급 회담을 거부하는 것과 같다고 맞섰습니다.
북측은 3가지 의제를 동시에 다루자고 했지만 우리측은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다른 논의도 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습니다.
수석대표와 관련해서도 우리측은 장관급으로 할 것을 제안한 반면 북측은 차관급을 고수했습니다.
KTV 강필성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와이드 (86회) 클립영상
- "기름값·통신비 시장구조 개선, 인상 억제" 1:32
- 공정위, 유통분야 판매수수료 공개 1:27
- 2014년까지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 1:58
- 서해5도 주민 생활지원금·교육비 지급 1:52
- 군사실무회담 결렬…회담의제 합의 못해 1:27
- 정부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 원칙적 동의" 1:50
- 서민층 8만8천가구 LP가스시설 개선 1:38
- 이 대통령, '숨은 교육자 젊은이에게 희망' 2:23
- '광물자원 보고' 카메룬을 선점하라 4:35
- 신성장·국가산업 기술인재 2만명 육성 1:21
- 가온차트, K-POP 우수성 알리는 데 큰 역할 1:58
- 국제선 출입국 심사 빨라진다 0:34
- 알코올 중독 치료하는 기능성 쌀 개발 0:33
- 농어촌공사-농진청, 해외농업개발 협력 0:20
- 대전시, 중소기업 육성자금 1천700억원 푼다 1:40
- 서울시, 독거노인 주치의 서비스 확대 운영 0:25
- 창원시, '사랑의 컴퓨터 보내기' 확대 0:38
- "축산분뇨차량 구제역 감염 발표, 사실무근" 0:45
- "국립외교원 명칭, 부처간 협의 거쳐 결정" 0:31
- 닥쳐오는 식량위기 '세계는 전쟁중' 2:26
- 4대강 논란 종지부···공사 올해 끝난다 [와이드 인터뷰] 16:38
- 주부들의 새로운 희망 '여성새일센터' [정책 플러스] 6:56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