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회 본회의에서 한 EU FTA 비준동의안이 통과됐습니다.
이제 공은 우리 측으로 넘어왔는데요.
정부는 비준동의안 처리 절차를 조속히 마쳐 한·EU FTA가 7월부터 잠정 발효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한·EU FTA 비준동의안이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통과됨에 따라 한·EU FTA 잠정발효를 위한 EU측 절차가 마무리됐습니다.
정부는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한·EU FTA 동의안이 통과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한·EU 양측이 합의한 대로 오는 7월 1일 FTA를 잠정발효하기 위해서는 우리 국회에서도 늦어도 6월말까지는 비준동의안 처리와 FTA 이행관련 법안 처리 등 준비작업을 마쳐야 합니다.
정부는 작년 10월25일 한·EU FTA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며 국회 외교통상통일위는 연말에 3차례 공청회도 개최한 바 있어 비준안을 상정해 심의·의결할 수 있는 모든 절차적 조건을 마쳤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 2월 임시국회에서 소관 상임위인 외교통상통일위에 곧바로 상정·심의에 들어갈 수 있는 상황입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남경필 위원장도 한?EU FTA 비준동의안을 2월 임시국회에 상정한 뒤 상임위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부는 FTA의 중요성을 연일 강조하고 있습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FTA 체결은 개방이 심화?확산되는 글로벌 경제 환경 하에서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염려하는 시각도 있는 만큼 갈등과 대립을 타협과 포용으로 승화시키는 노력을 범정부적으로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김황식 국무총리
“비준동의안 처리과정에서 각계의 의견을 겸허하게 듣고 성실하게 정부의 입장을 전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해 달라”
한·EU FTA가 잠정 발효되면, 세계 최대 시장이자 주요 교역파트너인 EU시장을 선점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작년 10월 한·EU 정상회담 시 출범한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게 외교부의 설명입니다.
한-EU FTA로 세계 최대시장인 EU의 무역 빗장을 풀고, 우리나라 기업의 경제영토를 넓혀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하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TV 김현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430 (90회) 클립영상
- 한·EU FTA 유럽 승인···국내 비준 '관건' 2:29
- 분유 3만톤·삼겹살 5만톤 무관세 수입 0:29
- 김 총리 "北 무력도발 가능…민관 적극 협력해야" 0:45
- 균등기회 보장, 공정한 사회 만들기 1:56
- 김 총리 "민생법안 처리에 만전 기해야" 0:40
- 교도소에 기업 유치···취업연계 강화 0:43
- 한강 상류 가축 매몰지 27곳 정비 착수 1:51
- 매몰지 안전시공 5대 원칙 시달 0:27
- IOC 평가단, 드림 프로그램 호평 2:42
- 온라인 민원 수수료, '카드 포인트'로 결제 2:55
- 취업·고소득 미끼 허위·과장 자격증 적발 1:55
- 장애아동 입양가정 양육·의료 지원 확대 2:00
- 지난해 인구 이동률 36년만에 최저 1:45
- 판매수수료 공개, 기업비밀 침해?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