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의 내전사태는 우리 수출 기업에도 적지 않은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피해상황을 점검하면서 대책 마련에 돌입했습니다.
리비아의 내전이 격화됨에 따라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과 교민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 코트라는 리비아 사태로 우리 기업의 수출 피해액은 연간 1870만 달러.
수출 피해 원인
바이어 연락 두절(45.7%)
선적 및 하역 불가에 따른 운송 차질(31.4%)
수출대금 미수(28.6%)
수출잠정 중단(22.9%)
피해액이 이처럼 큰 이유는 바이어 연락 두절과 선적 또는 하역 불가에 따른 운송차질 그리고 수출대금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 입니다.
현재까지 받지 못한 수출 대금만도 220만 달러.
리비아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들 가운데 약 30퍼센트가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교민 피해도 잇따른 가운데 우리 중소기업 직원 9명이 22일 육로를 이용해 이집트로 탈출했습니다.
정부는 교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합동 리비아 신속대응팀을 이집트 카이로로 급파했습니다.
신속대응팀은 이집트 현지에서 이집트 대사관과 함께 이집트로 이동하는 우리 교민의 안전과 수송대책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KTV 정은석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모닝 와이드 (94회) 클립영상
- 리비아 사태 혼돈…일부 수출기업 피해 1:28
- 정부, 교민철수 전세기 보내기로 0:37
- 정부, 바레인 전역 '여행자제' 지정 0:19
- 유학생 2명 실종…교포기업도 피해 2:06
- 매몰지 정비공사 기술전담반 투입 1:36
- 이 대통령 "국민 위한 일에 이견 있을 수 없어" 1:43
- 이 대통령, "유가수준별 경제 대응책 마련" 0:35
- 공교육 강화해 사교육 줄인다 2:07
- 초중고 수학교육 큰 변화 온다 1:53
- '공정한 사회'…선진일류국가 도약의 길 2:47
- 입시제도 개혁…공교육 내실화 3:09
- 한미 전략동맹 발전…국방 선진화 가속 2:45
- 한·중 "北 '우라늄 농축 우려' 긴밀 대응" 2:14
- 정부 "북 UEP 안보리 대응 계속 추진" 0:36
- 여성 첫 출산 평균 연령 30세 넘어 1:51
- 56개 대기업 동반성장 성적표 만든다 1:37
- 올해 해외 문화원 24개로 확대 2:56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22
- 경제위기를 넘어 새로운 도약으로! [정책&이슈] 15:32
- 다문화 주부들은 인기 어학강사로 변신 중 [사랑합니다! 대한민국] 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