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림픽을 유치한 뒤 오히려 적자에 시달리는 도시들도 많은데요.
'흑자 올림픽'을 위한 평창의 과제, 송보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20조원이 넘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고, 경제적 파급 효과를 모두 합치면 65조원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박태일 본부장 / 현대경제연구원
"숙박시설, 경기장 투자는 물론 관광효과 등 직간접적 효과가 20조를 훨씬 넘을 것이다. 이러한 올림픽 경제효과는 어떻게 꾸려나가느냐에 따라 실질적으로 좌우된다."
하지만, 1회 대회인 프랑스 샤모니에서 21회 캐나다 벤쿠버에 이르기까지, 역대 동계올림픽 개최지 중 흑자를 낸 곳은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특히 벤쿠버와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우리가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대표적인 실패 사롑니다.
나가노 올림픽 조직위는 대회가 끝난 뒤 2천800만 달러의 흑자를 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수십억 달러 적자를 봤고, 1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개최지였던 벤쿠버는 준비 과정에서부터 예산부족으로 IOC 지원을 받았고, 결국 100억 달러의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면에 미국 동북부의 작은 시골마을 레이크플래시드는 연간 200만명의 관광객이 다녀가는 부자도시로 탈바꿈했고, 노르웨이의 릴레함메르도 기록적인 흑자와 함께 올림픽 이후 세계적인 관광지로 거듭났습니다.
하영원 교수 / 서강대 경영전문대학원
"과잉투자를 경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각종 경기장 시설의 사후 활용계획을 철저히 세워 투자효과를 최대화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평창유치위는 국내외 글로벌 기업의 후원을 통해 2억달러의 재정과 기술을 지원받는 등, 흑자 올림픽을 성사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각종 경기장 시설의 사후 활용 계획을 철저히 세우고 관광객 유치를 위한 치밀한 프로젝트를 가동해야만, 평창이 흑자 개최지로 남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TV 송보명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730 (190회) 클립영상
- 장마전선 북상···중부 최고 250mm 폭우 1:35
- 이 대통령, 오지마을 봉사활동···'감사의 구슬땀' 2:09
- 대출 관련 수수료, 금융회사가 부담 1:40
- 운전면허증 미갱신, 최대 20만원 과태료 1:22
- 생활공감정책 국민 아이디어 공모 개시 0:27
- 불법 고액과외 적발하면 포상금 더 준다 1:15
- 대·중소 협력으로 '뿌리산업' 강화 1:27
- 평창의 진짜 성공, 관건은 '흑자 올림픽' 2:32
- 한·미FTA 우리가 챙긴 것들 1:40
- 군 의료체계 선진화···위생여건 개선 1:31
- 우울증·조울증 5년새 15% 증가 1:38
- "한국, 2100년 인구 3천700만으로 감소" 0:34
- 동해 해수욕장 일제히 개장 2:04
- 전국 시·군 통합논의 활발 0:43
- 백자 연꽃넝쿨무늬 대접 [한국의 유물] 3:22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