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가 비준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세계 양대 무역국인 EU와 미국시장을 잡는 첫 나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유럽과 아시아 북미 3대륙을 잇는 FTA허브 국가로 거듭나게 될 전망입니다.
김현아 기자입니다.
한·미 FTA 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해 발효된 국가가 45개국으로 늘어나게 됐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4년 한-칠레 FTA 발효를 시작으로 FTA 대장정에 나섰습니다.
FTA를 적극 추진한 결과 칠레, 싱가포르, EFTA, ASEAN, 인도, EU, 페루 등 44개국과의 FTA가 발효됐습니다.
올해는 지난 7월 1일 한-EU FTA 잠정발효, 8월1일 한·페루 FTA가 발효에 이어 한미 FTA가 비준절차를 완료됨에 따라 내년 1월 발효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밖에 호주, 뉴질랜드, 터키, 콜롬비아, 캐나다, GCC, 멕시코 등 12개국과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지난 7월 한·EU FTA가 성공적으로 발효된 데이어 한·미 FTA가 비준됨에 따라 유럽과 동아시아 북미 3대 대륙을 잇는 'FTA 허브 국가'로 거듭나게 됐습니다.
또 우리 경제영토는 세계 GDP 대비 60.9%로 확장돼 경제영토 세계 3위 국가로 도약하게 됐습니다.
여기에 호주와의 FTA 협상이 올해 안에 타결되고 협상 개시를 논의 중인 한·중 FTA까지 타결된다면 5개 대륙에 걸친 FTA 네트워크를 완성하게 됩니다.
최석영 FTA교섭대표 / 외교통상부
"지금 우리와 경쟁하고 있는 주변국, 특히 중국, 일본에서는 한국의 FTA 네트워크 확장에 상당한 부러움과 경계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실질 GDP가 5.7% 증가하고, 신규 일자리는 향후 10년간 35만 개가 늘어나 국가경제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전 세계 경제가 FTA 체결을 위한 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세계 무역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KTV 김현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이슈 (33회) 클립영상
- 연평도 전사자 1주기 추모식 40:12
- 연평도 포격도발 1년, 보훈대책은? [집중 인터뷰] 16:55
- 이 대통령 "농업, 경쟁력 갖춘 수출산업으로" 2:20
- 미 "한미 FTA 비준 환영···조기 발효 노력" 1:14
- FTA 허브국가···경제영토 세계 3위 2:15
-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 3.7% 0:40
- 저소득층 고금리 대출 금융위기 이후 최대 0:36
- 北 연평도발 1년···곳곳에 '포격 생채기' 1:14
- 전국 땅값 0.1% 상승···12개월 연속 상승 0:30
- 무역 9천억달러 돌파···연내 1조달러 무난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