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섬유는 가볍고 강철보다 강하지만 뻣뻣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국내 연구진이 탄소나노물질 두 개를 결합해 강점은 그대로 유지한 채 부드러움을 더한 인공 섬유를 만드는 데 성공했습니다.
노은지 기자가 소개합니다.
거미줄보다 6배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섬유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한양대 김선정 교수 팀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를 1:1 비율로 결합해 뛰어난 인공 섬유를 얻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높은 강도와 전기 전도성에도 불구하고 그래핀은 2차원 평면 구조이며 탄소나노튜브는 서로 엉킨다는 단점 때문에 각각을 섬유로 만드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연구 팀은 평면과 선 모양의 단백질이 얽혀 있는 거미줄의 나노 구조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평면의 그래핀과 관처럼 생긴 탄소나노튜브를 결합시킨 겁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섬유는 탄소 소재의 다른 섬유보다 훨씬 강하면서 바느질을 할 수 있는 유연성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각 소재를 녹인 물을 섞고 진동을 주면 쉽게 결합되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센서와 방탄복은 물론, 인공 근육 소재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실렸습니다.
KTV 노은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굿모닝 투데이 (83회) 클립영상
- 오늘까지 한파…중서부지방 밤부터 눈 1:47
- 한파에 전력사용 최대…예비력 확보 총력 1:36
- 굿모닝 지구촌 3:37
- '협력이익 배분제' 도입…대기업 자율 판단 1:46
- 공정위, '커피전문점 빅5' 가맹본부 횡포 손본다 0:33
- "지나친 기업 때리기, 경제에 도움 안 돼" 1:31
- 93일간의 바다 대축제, 준비 순항중 8:35
- 이 대통령 "기성사회 자성...사랑담긴 정책 마련해야" 2:52
-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세계 15위 1:30
- 조간 브리핑 10:26
-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널리 알려요" 2:30
- '대입 특별전형' 개선…'공정사회 핵심과제' 확정 2:16
- 가습기살균제, 폐손상 최종 확인 1:38
- 국내 연구진, 거미줄보다 6배 질긴 섬유 개발 1:54
- 조간 브리핑 10:22
- 한류 타고 의료관광도 신바람 1:44
- 유학생들의 겨울나기 2:58
- '금남'의 간호사관학교…남자생도 첫 입소! 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