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전국 8천300여개 중소 협력업체와 '핫라인'을 가동하기로 했습니다.
대기업의 부당 단가인하와 같은 불공정행위를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강석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그간 대기업에 하도급이나 납품을 하는 중소협력업체들은, 불공정거래가 발생해도 신고할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신원 노출에 따른 대기업의 보복성 조치를 우려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간 불공정행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시 직보 체제인 '핫라인'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핫라인 운영은 하도급 분야와 유통 분야를 아우르게 됩니다.
먼저 하도급 분야의 대상업체로는 영상.통신장비와 자동차부품 2개 업종부터 우선 실시됩니다.
협력업체 수가 3천600여개로 많고 단가인하의 범위가 넓기 때문입니다.
운영방식은 협력업체 직원과 공정위 전담직원 간에 휴대전화로 상시 연락 체계를 구축하고, 간담회도 수시로 개최됩니다.
특히 제보자 보호를 위해 중소기업 단체와 핫라인을 동시에 개설하고, 인터넷 제보란도 운영됩니다.
유통 분야는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에 납품을 하는 중소기업이 대상입니다.
운영방식은 하도급 분야와 동일하지만, 보다 빠른 제보를 위해 인터넷 제보란이 하도급 분야와 별개로 운영됩니다.
공정위는 이번 핫라인 개설로 불공정 관행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보고, 특히 제보를 방해하거나 보복하는 경우 엄중 제재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이슈 (98회) 클립영상
- 주택청약 지역, 시·군서 도 단위로 확대 1:58
- 오늘부터 한미연합 '키 리졸브' 훈련 실시 0:25
- 北 김정은 '키 리졸브' 앞서 연평도 포격부대 시찰 0:34
- UN 인권이사회 오늘 개막…정부, '탈북자' 거론 1:53
- 전국 민간 어린이집 오늘 집단 휴원 0:43
- 제2금융권 가계 대출 문턱 높아진다 1:34
- 이 대통령 "등록금 정책 후퇴하지 않을 것" 2:31
- 이 대통령 "문제있는 사학 재단 들여다 볼 것" 2:31
- '핵안보정상회의' 준비 상황은 7:32
- 네팔 70대 남성, 세계 최단신 기네스북 2:42
- 대기업 불공정행위 신고 '핫라인' 구축 2:04
- 학교폭력 해법, 학생에게 듣는다 2:03
- 감사원, 총선 앞두고 공직기강 특별감찰 0:38
- 국방부 "제주해군기지 크루즈 시뮬레이션 문제없어" 0:31
- 실시간 검색어 2:11
- 生生정책-젊은소통 12:04
- '별들의 고향, 충무로' [TV 시간여행] 9:14
- 공정·투명한 스포츠 환경조성, 대책은? [집중 인터뷰]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