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제작된 극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인 <청춘의 십자로>가 최근 당시 상영방식인 '변사공연'으로 재현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류정민 KTV 캠퍼스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서울 상암동에 위치한 한국영상자료원입니다.
이곳에서 80년 전 무성영화 상영방식인 변사공연으로 극영화 <청춘의 십자로>가 재현되고 있습니다.
1934년 안종화 감독이 제작한 <청춘의 십자로>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극영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입니다.
2008년 한국영상자료원이 국내에서 기적적으로 발굴한 이 작품은 발굴 당시 복사본이 아닌 원본이라는 것과 현존 유일의 무성영화라는 점에서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지난 2월 이 영화는 문화재청의 실사를 거쳐 등록문화재 제488호로 지정됐습니다.
이번 변사공연은 등록문화재 지정을 기념해서 한국영상자료원이 마련한 것입니다.
민병현/ 한국영상자료원 경영기획부
“요즘 멀티 플렉스에 굉장히 영화가 편중돼 있고 개봉 영화에만 (관객분들이) 많이 집중하고 계신데 한국 고전 영화를 재해석을 해서 어트렉션 쇼 형식으로 저희가 만들었기 때문에 영화 관람하시는 분들이 색다른 재미를 느끼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변사공연으로 재현된 <청춘의 십자로>는 <가족의 탄생>, <만추>로 알려진 김태용 감독이 시나리오를 썼고 개성파 배우인 조희봉이 무성영화시대의 해설자인 변사 역할을 맡았습니다.
조희봉/ 배우, 변사 역
“왠지 모르게 우리들 너무 빠르게 살고 있잖아요, 느린 화면들 그런 걸 보면서, 느린 속도를 보면서 오히려 저희가 더 많이 상상하게 되고 더 많은 제 안에 있는 것을 끄집어 낼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 아닌가 그런 깨달음 같은 것도 얻었구요.“
이 작품은 농촌 출신 젊은이들이 상경해 도시에서 겪는 소비문화와 향락적인 일상 등 1930년대 삶의 단면을 그린 영화입니다.
특히 이번 변사공연에는 라이브 연주와 배우의 노래가 곁들여져 관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홍운표/서울 당산동
“오늘 이 구상은 참 잘돼 있는 거예요. 생음악으로 효과를 냈잖아요. 우리 음악 수준과 예술 수준이 아주 높아졌다는 데에 감동했어요, 참 감개무량해요. 아주 좋은 작품 봤어요“
변사 공연 방식은 지난 2008년 처음 시도된 뒤 부산국제영화제, 뉴욕영화제 등 국내외 주요 영화제에 초청돼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번에 재현된 무성영화 상영방식의 변사공연은 한국 고전영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됐습니다.
캠퍼스 리포트 류정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이슈 (108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이어도, 영토 분쟁 아닌 수역 조정문제" 2:30
- 정부, 中대사에 `이어도 관할권주장' 항의 0:40
- 다루스만 특별보고관 "탈북자 강제송환 우려" 1:05
- 다음달부터 국민연금 수령액 4% 인상 0:30
- 충남 계룡시 닭농장 '저병원성 AI' 판정 0:33
- 굿모닝 지구촌 2:05
- 제주 해군기지 건설, 진행 상황은? 6:33
- 현존 가장 오래된 극영화 변사공연 3:25
- 실시간 검색어 1:03
- <生生정책-젊은소통> 11:48
- 천년을 이어온 빛, 나전칠기 [사랑합니다 대한민국] 9:25
- 제주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쟁점은? [집중 인터뷰] 1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