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리해서, 또는 각종 혜택 때문에 신용카드 써온 분들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최근엔 가계부채 해소를 위해서 정부가 체크카드 같은 '직불형 카드' 활성화에 힘쓰고 있는데요.
어떤 혜택이 있는지, 표윤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서울 강남의 한 커피전문점.
커피 한 잔에 3천원 안팎의 소액이지만, 신용카드로 커피값을 내는 고객이 대부분입니다.
신용카드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세수 증대 등의 효과도 컸지만,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지난 10년 간 가맹점들이 카드사에 낸 수수료만 52조 원에 이릅니다.
가장 큰 문제는, 무분별한 소비로 늘어난 가계빚입니다.
지난해 카드빚을 포함한 가계빚은 900조원으로, 한 집당 평균 5천2백만원을 넘어섰습니다.
정부가 신용카드에서 직불형 카드 활성화로 정책 방향을 바꾼 이윱니다.
직불형 카드 사용 비율은 아직 신용카드의 10분의 1 수준이지만, 가맹점 수수료가 훨씬 낮고, 계좌 잔액에서만 결제돼 무분별한 소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직불형 카드를 쓰면 예전보다 더 큰 세제 혜택을 얻게 됩니다.
직불형 카드의 소득공제율은 신용카드와 5% 차이 밖에 없었지만, 올해부터 그 폭이 10%로 훨씬 커집니다.
신용등급 상승이나 포인트 적립 등, 신용카드를 잘 썼을 때의 혜택이 직불형 카드에도 확대될 계획입니다.
김정주 사무관 / 금융위원회 중소금융과
“물론 이런 결제 패턴자체가 한꺼번에 바뀔 수는 없기 때문에 조금씩 신용결제에서 체크결제로 전환되는 작업들이 꾸준히 이뤄져야”
정부는 또 직불형 카드와 신용카드의 장점을 합친 겸용카드 발급이 확대되도록 유도해나갈 방침입니다.
KTV 표윤신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굿모닝 투데이 (115회) 클립영상
- 조간 브리핑 10:39
- 김 총리 "튼튼한 안보 없이는 평화도 없다" 1:41
- 국제적 공조 강화..."발사시 UN차원 조치" 1:50
- "북한, 위성 발사 계획 지난해 미국에 통보" 0:42
- 광명성3호 발사때 항공기·선박 우회 조치 1:34
- 정상급 등 58명 참석···정상 28명과 '연쇄회담' 2:14
-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이색 자원봉사자들' 2:39
- '2012 서울 핵안보 심포지엄' 23일 개최 0:36
- 핵안보회의 기간 ICT 홍보관 운영 0:22
- 조현오 경찰청장, 경계태세 강화 지시 0:32
- 제주 북쪽 해상서 해경 종합훈련 0:54
- 중남미에 부는 한류열풍 5:21
- 굿모닝 지구촌 5:51
- 천안함 피격 2주기…"도발시 즉각 응징" 1:46
- 성범죄 피해자·가해자 점점 어려진다 2:12
- 다음달부터 건강보험료 전월세 상한제 도입 1:35
- 유치원 운영위원회 설치…원장 공모제 실시 1:34
- 생생한 창의·인성 교육 책으로 나왔다 1:56
- 직불형 카드 혜택 확대…활성화 박차 2:05
- "고졸자 3단계 취업지원사업 역점 추진" 1:46
- 사진에 담긴 비운의 대한제국 황실 2:33
- 클릭-e 뉴스 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