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없는 폐기물로 전기도 만들고 난방도 가능하게 하는 우리 기술이 최초로 중남미 지역에 수출됩니다.
멕시코가 그 대상으로, 우리 돈 7천억원 규모에 달합니다.
보도에 이연아 기자입니다.
환경공단과 멕시코 할리스코주가 총 공사금액 6억 달러, 우리 돈 약 7천억원 규모의 폐기물 파워플랜트 건설사업 협약을 맺었습니다.
국내 플랜트 사업 중 폐기물 에너지 분야가 중남미로 수출되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폐기물 파워플랜트란 생활 폐기물을 소각한 열을 이용해 전기를 얻고, 남은 수증기를 15℃도 물과 열교환 시켜 얻은 난방을 각 가구에 공급해주는 열병합방식의 자원회수시설을 말합니다.
공사는 1단계 1억2천만 달러 규모의 플랜트 건설을 시작으로 모두 5차례 걸쳐 진행됩니다.
완공 목표 시기는 2022년, 총 시설 용량은 2천톤 규모입니다.
이번에 멕시코에 수주하게 되는 플랜트는 제 뒤에 있는 플랜트 보다 100톤 큰 400톤 규모의 플랜트입니다.
수출할 플랜트는 수익형 민자사업 방식으로 진행되며, 사업공고를 통해 발주처를 모집할 계획입니다.
김상중 차장/ 한국환경공단 환경에너지처
"공단은 파워플랜트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발리주, 수마트라주, 자카르타에 소각장 진행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으며 저희들이 노력한 결과 공단의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인정받게 되어 오늘날의 결과가 나오게 됐습니다.“
이번 사업을 통해 735만명이 거주하는 멕시코 할리스코주의 폐기물 처리와 전력난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종길 운영소장/동부권광역자원회수시설
“전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회사도 그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가지고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세계 환경시장은 재작년 880조원 규모로, 연 평균 3.2%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중남미로의 첫 환경 플랜트 수출이 블루오션 개척의 물꼬를 열어가는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
KTV 이연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이슈 (121회) 클립영상
- 北 외무성 리근 "로켓 발사 계획 불변" 0:42
- "北, 장거리로켓 발사 후 핵실험·군사도발 예상" 1:45
- 北, 4월에 연이은 대규모 행사 열려 2:08
- "北 장거리로켓 비용 1천900만명 1년치 식량" 0:28
- 지난달 외화보유액 역대 최대 기록 0:26
- 이 대통령 "김용 후보, 세계은행 수장 최적임" 2:03
- 소비자물가 2.6% 상승…19개월만에 최저 2:20
- 무디스, 한국 신용등급 전망 상향조정 0:33
- 폐기물 파워 플랜트, 중남미 첫 수출 2:19
- 40대 한인, 강의실서 총기 난사 4:38
- 숙박시설 부족, 지역 네트워크로 극복 2:03
- 4대강 방문객 6개월만에 200만명 돌파 1:45
- K2전차 '파워팩' 독일제 수입 결정 1:35
- '남산 57배' 나무 4천만 그루 심는다 1:39
- 뇌 속 해마, '장소 기억' 습득하는 원리 찾았다 1:45
- 장애인 바리스타 돕는 대학생들 3:30
- 실시간 검색어 1:50
- 다문화가정 모범며느리 시상식 [사랑합니다 대한민국] 9:33
- 학교폭력 先치료-後처리 [집중인터뷰]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