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들에게 두 번째로 많은 암, 바로 유방암인데요,
정부가 각 의료기관의 유방암 치료 과정을 평가해 병원간 편차를 줄여나갈 계획입니다.
보도에 송보명 기자입니다.
일주일 전 유방암 절제술을 받은 송미애씨.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송씨는 재발방지를 위해 방사선 치료를 병행할 예정입니다.
송미애 / 유방암 환자
“신문에서 분당서울대병원이 완치율이 높고 수술 성공률도 높다고 해서 여기서 치료를 받게 됐다.”
분당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은 지난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선정한 유방암 수술비용이 저렴하고 입원기간이 짧은 병원으로 선정됐습니다.
김성원 교수 /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의사 한명이 환자를 계속해서 진료하기 보다 협업을 통해 필요한 치료를 적재적소에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 결과, 유방암 환자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0.03%로 다른 암보다 현저히 낮았습니다.
수술 후 관리만 제대로 하면 완치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2004부터 2009년 사이 유방암 5년 상대생존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82.2%로 OECD
평균인 83.5%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이는 권장된 진료지침을 따르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분석입니다.
실제로,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등 13개 병원의 2010년도 유방암 수술 700건의 의무기록을 조사한 결과, 유방전체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방사선 치료를 받은 비율은 16.7%부터 100%까지 병원마다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각종 수술 기록 역시 병원마다 기록 여부가 달라 환자가 다른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때 혼선을 빚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유방암 적정성 검사는 유방암 수술을 실시한 모든 기관들을 대상으로 오는 7월부터 실시됩니다.
KTV 송보명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NEWS 10 (22회) 클립영상
- 대형마트 영업시간 제한, 휴업일 지정 1:40
- 이 대통령 "공직자, 중심잡고 국정과제 추진해야" 0:37
- 분만 무과실 의료사고 국가가 70% 보상 0:33
- 영세업체 불공정약관 피해 소송 없이 해결 1:38
- 아세안 정상회의, 北 로켓 '자제' 성명 검토 2:01
- 로켓발사·생일행사에 '천문학적' 비용 소요 2:05
- 日, 대북 제재 1년 연장…수출입 금지 0:28
- 첫 재외국민 투표 마감…실제 투표율 2.53% 2:03
- 18개 불량 전기장판·매트 리콜 조치 2:17
- 여수엑스포 교통·전력난 방지 '이상무' 1:52
- 지난달 외화보유액 역대 최대 기록 0:24
- '맞춤형 비료'로 화학비료 사용 줄이기 1:37
- 유방암, 병원 간 치료 편차 줄인다 2:27
- 한민족 마음의 고향, '아리랑 특별전' 개막 1:59
- 국립공원 서식 멸종위기 양서류 영상 공개 1:54
- 새로운 행동문화 '플래시 몹'이 뜬다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