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음주로 예상되는 장거리미사일 발사 현장 참관을 국제사회에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국제사회는 냉담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이 소식, 홍서희 외신캐스터가 전해드립니다.
북한이 오는 12일에서 16일 사이로 예정된 장거리미사일 발사를 참관할 전문가를 보내달라고 국제사회에 요청했습니다.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이란 등 8개국과 유럽우주국에 참관을 요청했다고 전했습니다.
북한의 이런 움직임은 자신들이 쏘아올리는 발사체의 투명성을 국제사회로부터 확인받으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북한은 지난달 장거리미사일 발사 계획을 발표한 직후 국제사회의 강한 반발을 우려해 외국 전문가와 기자들에게 발사 현장과 실황을 전면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참관 요청에 국제사회의 반응은 냉담하기만 합니다.
미 국무부는 "우리는 어떤 참관단도 북한에 보내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하게 밝혔습니다.
다른 나라에 대해서도 "참관단을 파견하는 것은 국제의무를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용인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면서 북한의 요청을 거부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는 북한의 요청을 거부했고,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도 내각의 지시에 따라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북한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시아 연방우주청도 북한에 전문가들을 파견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이타르타스 통신이 전했습니다.
연방우주청 소식통은 "이번 발사는 러시아가 지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에 대한 직접적인 위반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연방행정기구로서 참여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국제사회의 참관 요청 거부는 북한의 이번 행동을 사실상 미사일 시험 발사 목적으로 규정하고, 국제사회의 단호하고 공통된 대응 방침을 밝힌 것으로 해석됩니다.
KTV 홍서희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NEWS 10 (24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산림 산업화에 대한 대비 필요" 1:46
- 전국 곳곳 나무 심기…수종도 교체 2:38
- 1분기 외국인직접투자 금융위기 후 최대 1:46
- 골드만삭스 "경제개발, 한국 정책 배워라" 1:53
- 국제사회, 北 장거리 미사일 발사 '참관 거부' 2:19
- 한중일, 이번 주말 北 장거리미사일 논의 0:27
- 클린턴 장관 "미얀마에 對北 군사협력 중단 압박" 0:28
- 전통시장 대표상품 7월부터 가격 공시 2:28
- "FTA 가격 인하 효과 미진…점검 강화" 1:55
- 90조원대 핵심기술 해외유출 막았다 1:33
- 중소기업 전용 주식시장 연내 개설 2:01
- 차명계좌·사이버거래 탈세 엄중 대응 1:50
- "은행, 급격한 中企 대출 회수 자제해야" 0:28
- 대학생들, 낙산사 나무심기 나섰다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