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 봉사의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고 하지만,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은 최근 1년 동안 단 한번도 봉사활동에 참여한 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용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우리 주변에 봉사활동을 하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봉사를 한번이라도 경험해 본 사람들은 이를 통해 이웃을 기쁘게 하고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들이 실제로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횟수는 얼마나 될까요?
김경태 / 서울시 대림동
"기회가 있을때마다 동아리 활동하면서 자주 하거든요."
성기철 / 부천시 오정구
"마음은 있는데 계기가 없는것 같아요. 제게는 아직"
리얼미터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최근 1년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적 없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열 번 이상 참여했다는 응답자도 10%가량 돼 봉사를 생활화하는 이웃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자원봉사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시간이 없다는 응답자가 절반가량 됐고 다섯 명 중 두 명은 참여방법을 모르거나 관심 없다고 답했습니다.
봉사 경험이 있는 열 명 중 세 명은 복지관이나 보육원 등을 직접 방문했고 열 명 중 두 명은 환경보호활동을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정예 / 서울시 서초동
"한남동에 있는 시립용산노인복지관에서 주간보호시설에 계시는 노인치매분들을 위해 미술치료 하고 있어요. 그리기, 오리기 그런 것 했습니다."
또 자원봉사에 참여한 계기에 대해서는 36%가 자신의 행복을 위해라고 답했습니다.
이에 반해 타인의 행복을 위해라는 응답은 8%에 불과해 큰 대조를 보였습니다.
봉사 활동을 통해 개인적인 만족을 얻으려는 이들이 많은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조사는 ktv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됐으며 지난달 29일과 30일 이틀동안 자동응답전화로 진행됐고 95%의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는 +- 3.7퍼센트 포인틉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굿모닝 투데이 (128회) 클립영상
- 조간 브리핑 14:20
- 북한 '3차 핵실험' 움직임 포착 1:36
- 北 장거리미사일 발사준비 본격화 6:02
- 해경, 北 장거리미사일 발사 안전 강화 0:34
- 검찰, 류충렬 소환 '5천만원' 출처 조사 0:41
- 조현오 경찰청장 "112신고센터ㆍ상황실 전면 개편" 0:31
- 의료분쟁조정중재원 출범 2:48
- 취업 미끼 다단계식 투자사기 주의보 2:30
- 건설현장 안전 불량시 즉시 '사법처리' 1:47
- 항공요금 총액표시제 도입…유류할증료 명시 1:42
- 굿모닝 지구촌 6:25
- 여수엑스포 참여하고 경품도 받고 1:59
- 여수~순천 새 국도 개통…30분만에 주파 0:27
- 구제역 의심 소 '음성' 판정 0:36
- 고졸행원들 "고객을 직접 찾아갑니다" 2:05
- 우수 농산물 인증 확대…식탁 안전 향상 1:37
- 국민 55% "봉사활동 한 적 없어" 2:06
- 군가 '멋진 사나이' 장병 응원곡으로 재탄생 2:12
- 클릭 e-뉴스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