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를 비롯해 외교통상부, 통일부 등 정부 각 부처도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는데요, 이번에는 청와대 연결해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박영일 기자!
네, 청와대 춘추관입니다.
청와대 분위기 어떻습니까?
네, 청와대도 긴장감 속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외교안보라인을 중심으로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하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동향 파악에 정보력을 쏟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외교안보라인으로부터 수시로 관련 보고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실행에 옮겨지면 즉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NSC를 소집해 상황을 점검하고 실질적 대응책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도 외교부를 중심으로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국제사회와 공동 대응에 나설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미 지난달부터 미국, 일본 등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협력 체제를 가동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사일 발사가 실행에 옮겨지면 정부는 미국, 일본과 공조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긴급 소집하고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6자회담 당사국인 미국과 중국, 러시아, 일본은 물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미 우려를 표시한 유럽연합과 호주, 이태리와 태국 등과도 협력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굿모닝 투데이 (130회) 클립영상
- 조간 브리핑 12:50
- 19대 총선 잠정 투표율 54.3% 10:09
- 청와대 "국민들에게 감사…민정·민생에 최선" 0:16
- 북 장거리미사일 발사 '초읽기' 8:36
- 軍, 북 장거리미사일 '추적' 돌입 2:22
- 발사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소집 1:31
- 北 미사일 발사 대비 해상안전 강화 1:31
- 낙하 예상지역 항공기 운항 통제 1:13
-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 1비서' 추대 1:53
- 굿모닝 지구촌 6:27
- 전시관 오늘부터 예약 1:38
- 경력단절 여성, 농촌체험지도사로 돌아왔다 2:27
- '금융사고 시한폭탄' 위·변조 뱅킹 앱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