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도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영일 기자!
네, 청와대 춘추관입니다.
청와대도 비상 근무체제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죠?
네, 그렇습니다.
청와대는 외교안보라인을 중심으로 비상근무체재를 유지하면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준비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도 발사예정일 이틀째인 오늘은 별다른 공식일정을 잡지 않은 채 수시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동향을 보고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청와대의 분위기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를 대비해 이미 국제사회와의 공조체재를 구축해 놔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입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실행에 옮겨지면 외교안보장관회의를 소집해 대응방향을 논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도 외교부를 중심으로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 국제사회와 공동 대응에 나설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미 지난달부터 미국, 일본 등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협력 체제를 가동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사일 발사가 실행에 옮겨지면 정부는 미국, 일본과 공조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긴급 소집하고 안보리 차원의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6자회담 당사국인 미국과 중국, 러시아, 일본은 물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미 우려를 표시한 유럽연합과 호주 등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청와대 춘추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굿모닝 투데이 (131회) 클립영상
- 조간 브리핑 13:46
- 北 장거리미사일 13~14일 발사 유력 6:25
- 군, 미사일 발사 대비 '비상체제 유지' 1:51
- 靑, 미사일 발사 동향에 촉각 1:33
- 日 '독도 집회' 관련 외교통상부 논평 1:30
- 검찰, 19대 총선 당선자 중 79명 선거사범 입건 0:22
- 경찰, 당선자 답례행위 특별단속 0:26
- 검찰, '불법 사찰' 진경락 전 과장 지명수배 0:36
- 부산 실종 여대생 사인은 '익사' 판명 0:43
- 취업자 6개월째 40만명 이상 증가세 2:04
- 굿모닝 지구촌 3:49
- 남해안 전복, 新 수출효자로 '쑥쑥' 3:48
- 세종시 난개발·투기 방지 규제 강화 1:32
- 여수엑스포 특별 임시열차 승차권 예매 0:31
- 상호출자제한 63개 기업집단 선정 2:11
- 복지부, 줄기세포 연구에 올해 330억원 투자 2:25
- 토요일에 만나는 공연·체험 행사 풍성 1:41
- 과학의 달, 전국에서 과학 행사 '풍성' 1:39
- 기업 57% "선거 공약 탄력적으로 적용해야" 0:32
- 주 36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 증가세 0:44
- 25일까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0:27
- 10대 그룹 중 4곳만 영업이익 증가 0:33
- 한일우정의 합동무대 '들불'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