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이동통신사 대리점 외에도 대형마트나 인터넷을 통해서도 휴대전화를 구입할 수 있는 단말기 자급제가 실시됩니다.
유통구조를 다양화해 휴대전화 가격을 내리기 위한 조치인데요, 이지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이동통신사 대리점이 모여있는 서울의 한 지하상가입니다.
하루종일 휴대전화를 구입하려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휴대전화를 구입하고 개통하려면 반드시 이동통신사 대리점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렇다보니 소비자들은 값비싼 휴대전화 단말기와 요금제를 묶어서 할인판매하는 이동통신사에게 끌려 갈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김혜란 / 경기도 시흥시
"휴대전화를 선택해도 요금제는 이통사가 정해준 것을 이용해야 되니까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것 같고..."
박종원 / 경기도 산본시
"자기들 이익만 생각하지 말고 소비자 이익을 위해서 규제를 빨리빨리 풀어줘서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쓸 수 있게 했으면 좋겠다"
하지만 내일부터는 단말기 자급제가 시행돼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값싼 단말기를 구입할 수 있게 됩니다.
현재는 이동통신사 대리점을 방문해 대리점에서 제공하는 단말기를 구입하고 개통절차를 밟아야 하지만 내일부터는 대리점 뿐 아니라 대형마트나 인터넷 등을 통해 단말기를 구입할 수 있고, 여기에 가입자 정보가 담긴 유심 칩을 끼워 넣어 곧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단말기 종류가 많아지고, 무엇보다 치열한 경쟁으로 단말기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보입니다.
휴대전화 유통 주도권이 이동통신사에서 제조사나 유통업계로 넘어갈 가능성도 큽니다.
하지만 이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습니다.
바로 요금문제입니다.
현재 이동통신사는 대리점에서 구입한 휴대전화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요금을 할인해주고 있지만 다른 경로로 구입한 단말기에 대해서는 요금 할인에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정순 주무관 / 방송통신위원회 서비스기반담당
“단말기 자급제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통신사의 요금할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그래서 저희가 동등한 요금할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와 협의중이고...."
이에 따라 단말기 자급제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단말기 출고가 인하와 할인요금제 등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높습니다.
KTV 이지수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굿모닝 투데이 (142회) 클립영상
- 조간 브리핑 15:01
- 靑 "미국산 쇠고기 검역강화로 충분" 1:28
- 정부 광우병 조사단 오늘 방미 0:29
- 연간 매출액 비중 제조업 최대…33.8% 1:49
- '2012 투르 드 코리아' 대장정 마무리 1:49
- 지역문화의 메카 '한강문화관' 개관 2:04
- 112·119 핫라인 전국으로 확대 4:42
- 굿모닝 지구촌 7:04
- '단말기 자급제' 도입…휴대전화 가격 인하되나? 2:29
- 최시중 구속여부 결정…박영준 소환 임박 0:36
- 中 외교부 "북한 핵실험 반대" 0:28
- UN "中 탈북자 북송 중단 안했다" 0:35
- 노스페이스 14년간 '할인판매 차단' 적발 1:48
- 우리금융 매각 재추진…오늘 매각공고 1:27
- 봄철 호흡기질환 후두염, 조심하세요 2:00
- 저출산 심각…문제는 "돈" 2:19
- 아랍에미리트 세크자드상 수상, 파주출판도시 8:21
- 이 대통령 89차 라디오·인터넷 연설 다시 듣기 7:48
- 클릭-e 뉴스 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