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로 한EU FTA가 발효된 지 1년이 됐습니다.
계속되는 세계 경제 침체 속에 한EU FTA는 우리 수출에서 어떤 성과를 냈고, 소비생활에 끼친 변화는 무엇인지, 이연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세계 최대 경제권인 유럽연합의 무역 빗장이 열린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유럽발 재정위기로 우리나라의 EU로의 수출은 12.1% 감소했고, 무역수지는 18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렇게 유럽 재정위기로 전반적인 수출이 줄었지만, FTA 관세 혜택을 받는 품목들은 뚜렷한 수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자동차는 38%, 자동차 부품은 15.8%, 석유제품은 23.9% 수출이 증가했습니다.
4%의 관세가 철폐된 폴리에스터는 이탈리아 시장에서 한국 점유율 3위에서 1위로 올랐고, 벨기에 수입시장의 80%를 점유했습니다.
안경테와 모조 액세서리도 수출액이 400% 이상 증가했습니다.
한EU FTA로 인한 관세 철폐가, 세계 경제 침체 속에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겁니다.
명진호 수석연구원 / 한국무역협회 통상연구실
"한EU FTA 비 수혜 품목은 수출이 마이너스 22%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한EU FTA 수혜를 받는 품목들은 수출이 16.5% 늘어났는데요. 동일한 품목으로 EU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일본, 중국, 대만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FTA의 또 다른 혜택인 소비자가격 인하로 눈을 돌리면, 전기다리미와 전기면도기, 프라이팬 등 유럽에서 들여오는 9개 품목 중 6개 품목에서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전동칫솔 등 일부 품목은 가격이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소폭 상승했습니다.
정부는 품목별 가격정보를 공개하고 법 위반 여부를 가려내는 등, FTA의 가격 인하 효과를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이연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이슈 (181회) 클립영상
- 전국 가뭄 90% 해갈···이번주도 남부지방 단비 0:29
- 소비자물가 상승률 넉달째 2%대 안정세 0:33
- 소비자 90% "국산 돼지고기, 품질 비해 비싸" 0:42
- 세종시 공식 출범···36개 정부 기관 이전 1:18
- '문 열고 냉방' 여전···최고 3백만원 과태료 1:54
- EU 이란 원유 금수 발효···이란, 미사일 발사 예고 0:30
- 해병대 첫 여군 영관장교 3명 탄생 0:23
- 19대 국회 오늘 개원···국회의장단 선출 0:29
- 이달부터 연금보험 수령액 최대 5% 감소 0:29
- 10대 재벌 총수중심 지배구조 더욱 강화 0:45
- 금감원, 재벌보험사 대주주 불법지원 특별검사 0:30
- '한EU FTA 1년' 수출·소비생활 변화는? 2:18
- 농식품 전략품목, 수출 100억달러 견인 8:16
- 굿모닝 지구촌 3:57
- 올해 수능 11월8일···난이도 지난해와 동일 0:39
- 학교 졸업증명서 주민센터서 뗄 수 있다 0:26
- '연이율 1,900%' 사채업자 등 무더기 사법처리 0:34
- 해군·해병대, 합동 상륙훈련 실시 1:32
- 실시간 인터넷 검색어 0:57
- 단결! 신임사무관 특전사 되다! [정책, 현장을 가다] 8:07
- 북한 핫이슈 [통일로 내일로]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