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정부 발표를 보면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오히려 장애인 고용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가 대기업들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책임은 강화하고 규제는 완화해주기로 했습니다.
정명화 기자입니다.
지난해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2.3%. 그러나 고용노동부가 지난달에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1천명 이상 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1.78%, 500명 이상 1천명 미만과 300명 이상 500명 미만 기업은 각각 2.29%와 2.38%로,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오히려 장애인 고용을 꺼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대기업들의 장애인 고용에 대한 책임을 강화화기로 했습니다.
올해부터 민간 기업의 의무고용률이 2.5%로 오름에 따라, 현재 3단계로 산정해 부과하고 있는 고용부담금 부과기준을 한단계 더 세분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의무고용 인원의 2분의 1 이상 인원에 대해서는 월 59만원의 부담기초액만 내면 됐던 것에서, 의무고용 인원의 2분의 1에서 4분의 3미만 인원에 대해 부담기초액의 4분의 1 만큼을 초과로 부과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의무고용인원 20명 중 4명만을 고용한 경우, 10명에 대한 59만원과 나머지 6명에 대한 월 88만 5천원을 내던 것을, 이제는 5명만 월 59만을 내고 나머지 5명은 4분의 1을 더한 73만 7천원을 내도록 세분화하고, 나머지 6명의 경우는 이전과 동일합니다.
장애인을 한 명도 고용하지 않은 경우는 이전과 같이 1인당 최저임금액 월 95만 7천원을 부담해야 합니다.
이렇게 책임은 강화되는 반면, 규제는 완화됩니다.
정부는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장애인 표준사업장의 중증장애인 비율을 사업장 규모에 따라 완화해 주기로 해, 장애인 고용률을 높여나갈 계획입니다.
KTV 정명화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