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위안부 배상 문제에 대해 여전히 발을 빼고 있는 반면 독일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진정어린 반성과 적극적인 배상으로 주변국의 신뢰를 회복했습니다.
이지수 기자입니다.
폴란드 유대인 희생자 추모비 앞에 무릎을 꿇은 한 남자.
1970년 당시 독일 총리 빌리 브란트입니다.
독일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유대인 600만명을 학살하고, 폴란드, 이스라엘 등 98개국에 거주하는 피해자들을 강제 노역에 동원했습니다.
하지만 패전 이후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피해 배상에 적극 나섰습니다.
정혜경 과장 / 강제동원피해조사위원회 조사2과
"독일의 경우에는 나치를 통해서 우리가 이렇게 부당한, 반인권적인 행동을 했다는 것에 대해서 세계 각국으로부터의, 여러가지 요구도 있었고 그런 분위기 속에서 이 사람들은 스스로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죠."
독일은 국가 차원을 넘어 피해자 개개인에게 배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독일은 1952년엔 이스라엘, 1959년엔 서유럽 12개국 등 피해국과 협정을 맺어 피해자들에게 배상금을 지불했습니다.
지난 1953년 연방배상법이 발효된 이후엔 연방재산 환원법 등 관련법과 주 단위의 배상을 통해 배상 범위를 한층 넓혔습니다.
이에 따라 80개국 피해자들에게 1400억 마르크를 지불했고 지금도 피해자를 조사해 배상하고 있습니다.
KTV 이지수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이슈 (224회) 클립영상
- 태풍 '덴빈' 소멸…동해안은 낮까지 비 0:25
- 14호 태풍 '덴빈' 5명 사상…이재민 119명 1:15
- 사과·배 낙과 수매…가공식품 활용 지원 2:11
- 잠자던 초등생 이불째 납치 성폭행 0:45
- IAEA "북한, 경수로 건설 상당한 진척" 0:40
- 이 대통령 "방산에서도 새 원천기술 가져야" 0:38
- 한-엘살바도르 수교 50주년…정상 축하서한 교환 0:39
- 이 대통령, 다음달 7일부터 4개국 순방 2:08
- 제소 거부 '구술서 전달'…日 "단독 제소" 2:34
- 헌재 위안부 판결 1년…일본, '책임 회피' 2:43
- 일본, 반성없이 위안부 '망언' 계속 2:02
- 독일, 반성과 배상으로 신뢰 회복 2:38
- 반기문, "중동 긴장 안돼"…이란·이스라엘에 일침 2:09
- 명화를 새롭게 재구성 [캠퍼스 리포트] 2:16
- 독도의 자연전 [캠퍼스 리포트] 1:54
- 실시간 인터넷 검색어 1:03
- 배재대학교 [대학개혁에 앞장선다] 21:30
- 아직도 끝나지 않은 치욕, 8월 29일을 기억하라! - 경술국치일 상기 행사 [정책 , 현장을 가다]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