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아는 만큼 힘' 올해 달라진 세제·금융
등록일 : 2013.01.04
미니플레이

새해가 되면서 재테크 계획 다시 짜는 분들 많으시죠.

계획 세우기 전에, 해가 바뀌면서 달라진 제도들을 숙지하는 게 필수일 것 같습니다.

네, 오늘은 올해부터 바뀌는 세제, 그리고 금융제도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경제팀 표윤신 기자 나와 있습니다.

표 기자, 우선 금융 부문부터 살펴볼까요?

네, 지갑 속에 신용카드 몇 장 씩은 갖고 계시죠?

그 동안 신용카드 남용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 또한 적지 않았는데요.

이런 이유로 카드 발급 기준이 한층 깐깐해졌습니다.

올해부턴 신용등급 6등급 이상 만 20세 이상 성년만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라도 월 가처분소득이 50만 원이 넘으면 카드 발급이 가능하지만,  한도가 제한됩니다.

7등급 이하는 월 가처분 소득의 2배까지만 한도를 부여받고, 5등급에서 6등급 가입자도 3배까지만 허용됩니다.

김해철 선임조사역 / 여신금융협회

"신용카드 발급 및 이용한도 모범규준 등을 엄격히 준수하여 신용카드 문화가 더욱 건전해 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렇게 카드 가입자들에 대한 문턱이 높아지는 반면, 보험 부문은 소비자 권한이 더 강화된다고요?

네, 요즘 경기도 어려운데, 새해부터는 보험료 부담이 조금이나마 줄게 됐습니다.

우선 쓴 의료비만큼 보장받는 '실손의료보험'을 월 1만 원대로 저렴하게 가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 동안 실손의료보험은 많게는 월 10만 원대까지 하는 상해보험이나 사망보험의 특약으로만 가입할 수 있었는데, 올해부턴 단독 출시되기 때문에 1만 원대까지 보험료가 내려간 겁니다.

상대적으로 의료비 지출이 적다면, 자기부담금이 20%로 높은 대신 보험료가 더 저렴한 상품도 선택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윤수 과장 / 금융위원회 보험과 

"보험상품을 해지하는 등 불이익이 없이 보장연장이 가능하고, 건강한 가입자는 가입금액을 올려 상품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자동차보험 가입기간이 1년 미만인 단기가입자도, 무사고 운전자라면 새 보험 가입 때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가입 기간은 6개월이 넘으면 되고, 할인 폭은 1년 만기 자동차보험의 절반 수준입니다.

이번에는 세제 부문을 살펴볼까요?

올해부턴 고소득자들의 세금 부담이 더 는다면서요?

네, '금융종합과세', 그러니까 일종의 누진세라고 보면 되는데요.

금융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근로소득과 합산해 최고 38%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지금까진 4천만 원이 넘는 금융소득만 과세 대상이었지만, 올해부터는 2천만 원이 넘는 금융소득은 모두 종합소득세의 과표로 잡힙니다.

예를 들어 연봉 8천만 원에 연 금융소득이 4천만 원인 경우 지난해에는 990만 원의 세금을 냈지만, 같은 기준으로도 올해엔 과표가 2천만 원 더 적용되니까 200만 원의 세금을 더 내야 합니다.

김영림 세무사 / 하나은행 상속증여센터

"재형저축같은 비과세 상품이나 국고채물 등으로 재테크 수단이 많이 변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즘 서민들의 체감경기가 참 안 좋은데, 서민들의 경우 세금 부담이 줄어드는 측면이 있나요?

네, 서민 세금이 직접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아니지만, 물가 안정을 위해 일부 세금이 줄어듭니다.

먼저 50%였던 슈퍼마켓 협동조합의 취급세 감면 폭이 올해부터 75%로 확대됐습니다.

영세 자영업자들의 부담을 덜어 물가 상승을 막겠다는 취집니다.

또 알뜰주유소늘 늘려 유가 안정을 꾀하기 위해, 알뜰주유소의 재산세를 50% 감면해주기로 했습니다.

자녀가 셋 이상인 다자녀 가구의 자동차 취득세 감면도 연장됐습니다.

최대 140만 원까지 취득세가 감면되는 이 제도는 당초 지난해 말 끝날 예정이었지만, 오는 2015년까지 3년이 더 연장됐습니다.

지방세 신고를 놓쳤을 때 붙는 가산세도 절반으로 완화됩니다.

가산세율이 종전 20%에서 10%로 낮아지는데, 대신 법에 어긋나는 수단을 써서 고의로 신고하지 않은 경우에는 40%가 가산되도록 새로운 세율이 신설됐습니다.

따라서 새해에는 얼마나 더 많이 버느냐 만큼이나, 바뀐 제도들을 활용해 얼마나 더 아끼느냐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네, 표윤신 기자, 수고 많았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