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의 식생활을 위협하는 불량식품이 좀체 줄어들지 않고 있습니다.
새 정부는 불량식품과의 전면전을 선포한 상탠데요, 이연아 기자가 불량식품의 실태와 정부의 대책을 짚어봤습니다.
2011년 12월 부산에 있는 한 업체는 호떡에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이 아닌 사카린 나트륨을 사용하다 적발됐습니다.
지난해 12월에는 고추에 사용이 금지된 농약 이피엔 성분이 검출돼 당국이 제품을 회수했고, 2010년 서울 종로 전통시장에서는 대장균이 검출된 불량식품이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민들의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의 한 수산시장.
이곳저곳을 둘러보지만 혹시 하는 마음에 선뜻 손이 가지 않습니다.
신초희/ 서울시 인헌동
"인체에 해로운 색소가 들어 있다는 소리를 들으면 구매를 피할 때가 있어요."
대형마트를 찾는 주부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김연숙/ 서울시 일월동
"음식으로 장난치면 절대로 안 되죠. 사람이 먹는 음식으로 영향을 섭취하는데."
부정불량식품으로 신고된 건수는 2011년 8천400여 건에 달합니다.
2008년보다 3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국민들의 먹을거리가 지속적으로 위협당하자 새 정부는 불량식품을 4대 사회악 가운데 하나로 정하고 전면전을 선포했습니다.
불량식품을 팔다 적발되면 매출액의 10배를 징수하고, 3차례 이상 적발된 제조업자들의 명단을 공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또 법을 어길 경우 실형을 받도록 관련 조항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선결과제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우선 불량식품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것을 들고 있습니다.
오상석 교수/ 이화여자대 식품공학과
"미국 FDA 법에는 부정불량식품이 무엇인지 14개 항목으로 명확하게 정의했습니다. 우리나라 식품법에는 부정불량식품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부와 소비자, 산업체가 모두 혼란스러운 게 사실입니다."
또 원재료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까지 각 단계에서 위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예방관리 시스템 HACCP을 전 품목으로 확대하는 것도 방안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KTV 이연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