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전략을 알아보는 연속기획입니다.
박근혜 정부는 모든 분야에 과학기술을 적용해 창조경제를 구현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요.
과학기술 발전을 경제 부흥의 버팀목으로 삼겠다는 새 정부의 계획과 과제를, 노은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지하철 역사 안에서 채집한 미세먼지입니다.
이 연구팀은 하나 단위로 입자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해 다양한 대기 입자의 특성 파악에 활용했습니다.
그 결과, 지하철 역사 안의 대기 입자가 자기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자석을 활용한 지하철 역사 맞춤형 공기정화 필터 개발로 연구를 진전시킬 계획입니다.
노철언 교수 / 인하대학교 화학과
"기초연구를 해서 알게 된 사실을 기본으로 지하철 미세 먼지를 줄이기 위한 실용화 과제에 도전하게 되었는데, 중소기업과 잘 협조해서 좋은 결과를 냄으로써 국민 건강에 기여할 수 있고..."
환경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기초연구로 선정되면, 정부로부터 3년 동안 실용화에 드는 비용을 지원받게 됩니다.
이 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와 환경부가 최초로 부처간 연구개발사업 벽을 허문 사례인데요.
앞으론 미래창조과학부가 기초연구와 실용화 사업을 이어주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문제는 한 해 1조원 규모인 기초연구에서 좋은 성과가 나와도, 시장 출시까지 연계가 가능한 제도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전문가들은 우수한 기초연구 성과 창출과 개발·응용연구, 실용화의 선순환 구조가 구축돼야만, 과학기술이 창조경제를 실현하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차두원 정책기획실장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지식의 생성에서 상용화까지의 과정이 벽 없이 물 흐르듯이 연결이 되어야 경제 성장과 과학기술 투자로 연계되는데 그 부분이 미진했고, 앞으론 굉장히 중요하게 논의될 것 같습니다."
나아가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창의적인 기초연구를 늘리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오는 2017년까지 40% 비중으로 늘어나는 정부의 기초연구 예산 중 일정 부분을 창의적 연구에 할당하는 방안이 대책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또 연구 현장에 대한 규제와 간섭을 줄이고 연구자에게 더 힘을 실어준다면, 질적으로 한층 향상된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조언도, 귀담아 들을 만한 대목입니다.
KTV 노은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