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외환위기 당시 신용불량자가 된 사람들 중 일부를 선별해 구제해 주기로 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현아 기자, 전해주시죠.
네, 1997년부터 2001년 사이 외환위기로 신용불량자가 된 채무자는 236만명에 이르는데요, 정부가 이들 가운데 연대보증으로 채무를 지게 된 11만여 명을 오는 7월부터 선별 구제하기로 했습니다.
외환위기 당시 부도율이 급등했던 5년 동안 도산한 중소기업에 대해 연대보증을 선 채무자가 구제 대상입니다.
연체정보 등 불이익정보 등록자가 천104명, 연체된 보증채무 미상환자가 11만 3천830명으로 총채무액은 13조2천억원에 달합니다.
금융위원회는 정상적인 금융거래를 회복해준다는 취지에서, 은행연합회의 어음부도 기업 '관련인 정보'를 일괄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또, 연대보증 채무를 갚지 못한 사람에 대해서는 최대 70%까지 빚을 탕감해주고, 최장 10년까지 나눠 갚도록 했습니다.
채무조정을 해도 상환할 수 없는 수준으로 빚부담액이 많다고 판단되면, 채무부담액 최고 한도를 별도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지원을 받으려면 오는 7월 1일부터 연말까지 캠코를 통해 구제신청을 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금융위원회에서 KTV 김현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플러스 (2013년 제작) (90회) 클립영상
- 외환위기 당시 신용불량자 11만명 구제 1:21
- "회담 응해야···정부-기업 갈등 유발 생각은 오산" 1:53
- 박 대통령 "도발하면 보상하는 악순환 끊어야" 0:28
- '비정량 주유 88%'…조작땐 과징금 2억원 2:04
- 복지공무원의 하루…과중한 업무 연속 3:57
- '내가 가면 길이 된다' 오프로드 축제 2:01
- 중대 화학사고, 원청업체도 하청업체와 같이 처벌 0:37
- 한강변에 유채꽃 만발 [시니어 리포트] 2:05
- '아프리카의 삶과 문화' 한자리에 [캠퍼스 리포트] 2:12
- 홍대에서 열리는 수요일의 북콘서트 [캠퍼스 리포트] 1:51
- 기부금 공제 [알기쉬운 세무회계] 14:17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이제는 글로컬 시대다] 2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