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으로는 금융회사가 채무자에게 빚을 독촉하는 횟수가 하루 세 번으로 제한됩니다.
취약계층이나 소액채무자의 가전제품을 압류하는 행위도 금지됩니다.
김현아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기자>
주로 전화를 통해 하루 십 수 차례 이뤄지는 빚 독촉 횟수가 하루 3회로 제한됩니다.
금융감독원이 마련한 채권추심업무 가이드라인에는 금융회사별 특성을 감안해 자율적으로 회수 제한을 실시하되, 하루 3회 이상 빚 독촉 전화를 하지 못하도록 권고했습니다.
또, 채권 추심 직원이 사전에 알리지 않고 방문해 채무자들에게 공포심과 불안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전화나 우편,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방문계획을 미리 알리도록 했습니다.
채무사실을 가족 등 제 3자에게 알려 빚 갚기를 압박하는 행위도 막기로 했습니다.
녹취> 양현근 국장/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지원국
(" 채무자의 사전 동의 없이 채무사실을 제 3자에게 고지하는 행위를 엄격하게 제한하되..)
채무자를 압박하기 위해 이뤄지는 무분별한 압류행위도 금지 대상입니다.
빚이 150만원 이하인 소액 체무자나 기초수급자나 65세 이상 고령자 등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기본생활에 필요한 TV,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압류하지 못하게 했습니다.
금감원은 채권추심절차와 불법추심 대응요령을 이메일과 문자메시지, 우편을 통해 채무자에게 안내하도록 했습니다.
KTV 김현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10 (2013년~2015년 제작) (42회) 클립영상
- 박 대통령, 11월 5~7일 영국 국빈방문 1:12
- 지방대 모집정원 일부 '지역 졸업생'에 할당 2:33
- 현오석 부총리, '1박2일' 현장살리기 행보 2:22
- 취약계층 가전제품 '압류금지' 1:46
- 잇따른 대형 안전사고…안전불감증 '심각' 1:50
- "연명치료 중단 입법화 권고" 1:52
- 운전면허 신체검사 안받아도 된다 2:13
- "선배들의 몫까지 하겠습니다" 1:55
- '삶과 죽음'…종군기자가 찍은 6.25 미공개 사진 2:09
- 자전거산업 활성화 방안은? 2:11
- 해외 첫 '위안부 소녀상' 제막 0:23
- 檢, 전군표 전 국세청장 내일 소환 0:37
- 2015년부터 고졸 검정고시 7과목으로 축소 0:27
- 공공기관 홍보 캐릭터, 전기 절약 캠페인 펼쳐 0:23
- 기암괴석의 절경, 채석강 [국민리포트] 2:59
- 대학가 '인문학 열풍'···취업용? [국민리포트]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