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진주의료원 폐업사태로 불거진 지방의료원 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응급이나 분만 등 필수 의료시설을 확대하고, 지역내에서 충족되지 않는 다문화가족진료센터 같은 분야를 특화해 공익성을 높이겠다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이연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사내용]
평일 오후, 서울의료원에는 진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은 사람들이 접수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현장멘트> 이연아 기자/realjlya@korea.kr
이런 지방의료원은 일반 민간병원보다 평균 20% 진료비가 더 저렴합니다.
특히 대형병원들의 핵심 수입원인 비급여 항목 사용이 적어 환자 부담이 적습니다.
인터뷰> 임광수/ 서울시 망우동
"작년 병원에서 수술비로 8백~1천만 원을 이야기해서 못 받고 있었는데 의료원에선 2백여만 원을 이야기해 (이번에) 수술했습니다."
하지만 전국 지방의료원은 작년 한 해 863억 원 적자를 기록하며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실제 재정적 어려움을 이유로 경상남도는 지난 5월 진주의료원을 폐업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흔들리는 공공의료 근간을 강화하기 위해 지방의료원 육성을 통한 공공의료 강화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대책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지역별 특화입니다.
지역마다 다문화가족진료센터나 장애인재활센터, 모자진료센터 등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겁니다.
또 응급이나 분만 등 필수의료시설 설치를 확대하고 예산 지원에서도 우선 순위에 두기로 했습니다.
민간병원과 차별화된 전략으로 환자들에게 다가가 적자를 벗어나겠다는 복안입니다.
매번 지적받는 방만한 경영을 해결하기 위해, 의료원장 책임경영도 강화됩니다.
인터뷰> 정홍원 국무총리
"이에 대한 평가와 정부 지원을 연계하여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 등을 논의 확정할 것입니다."
세부 운영정보도 투명하게 공시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공개대상 정보에는 인력과 인건비는 물론, 단체협약 내용과 직원 진료비 감면실태도 포함됩니다.
이와 함께 의료인력의 안정적 확보를 위해 대학병원의 의사를 지방의료원으로 파견하는 경우 인건비 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KTV 이연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