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외교원 설립 5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개회식이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오늘 오전 열렸습니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 지역 국가들이 미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면서 공동역사교과서 발간을 방안으로 제시했습니다.
박 대통령의 발언,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앞으로 동북아시아를 EU와 같은 공동시장으로 만들 수 있다면 우리에게 엄청난 기회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동북아 국가간의 평화협력이 얼마나 큰 잠재력을 갖고 있는지 또 세계를 위해서도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엄청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동북아의 정치안보적 현실은 역내통합을 뒷받침하기 보다는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역내에서는 긴장이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군사적 충돌의 위험성도 상존합니다.
먼저 한반도의 분단이 70년 가까이 지속되는 가운데, 북한은 핵개발을 계속하며 긴장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역내 국가간 역사관의 괴리로 인한 불신과 일부 영토문제를 둘러싼 갈등과 충돌의 소지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분명 아시아적 패러독스인 상황입니다.
우리는 이 시점에서 잠재적인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동북아를 신뢰와 협력의 장으로 만들어내야 합니다.
제가 제안해온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역내 국가들이 작지만 의미있는 협력부터 시작하여 서로 믿을 수 있는 관행을 축적하고 이러한 협력의 관행을 확산시켜 불신과 대립을 완화하자는 것입니다.
핵안전을 비롯해,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사이버협력, 자금세탁 방지 등연성이슈부터 시작해 대화와 협력을 축적해 점차 그 범위를 넓혀가자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이 진전됨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유럽의 경험처럼, 가장 민감한 사안들도 논의할 수 있는 시점이 올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저는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해 먼저 역내 국가들이 동북아 미래에 대한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목적을 공유하지 않으면 작은 차이도 극복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목적이 같으면 그 차이는 극복할 수 있습니다.
독일과 프랑스, 독일과 폴란드가 했던 것처럼 동북아 공동의 역사교과서를 발간함으로써 동서유럽이 그랬던 것처럼 협력과 대화의 관행을 쌓아갈 수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동북아의 갈등과 대립은 어디까지나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입니다.
20세기 중반까지 있었던 바와 같이 군사적 수단이 동원되는 일이 이 지역에서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는 서로의 정책의도를 투명하게 하고, 국가간에 신뢰를 조성하는 다양한 조치들을 통해 군사적 분쟁의 발생 가능성을 예방해야 할 것입니다.
제가 대통령으로서 이 시대에 이루고자 하는 꿈은 바로 그렇게 동북아 평화협력지대를 이루고, 유라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연계 협력을 이루는 것입니다.
아태지역의 공동체인 APEC과 아시아유럽공동체인 ASEM도 연결되어 새로운 경제협력의 구도가 창출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