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2014년 예산안, 사상초유 준예상 편성되나 [집중 인터뷰]
등록일 : 2013.11.29
미니플레이

[기사내용]

내년도 새해 예산안 국회 처리 시한은 12월 2일, 바로 다음 주 월요일인데요.

나라의 일년 살림을 책임지는 예산안, 툭하면 여야 정쟁의 볼모가 되어 늑장처리의 수난을 겪고 있습니다.

도대체 언제쯤 처리될지, 또 내년 예산안은 어떻게 짜여졌는지 전문가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원윤희 서울시립대 세무대학원 교수 나오셨습니다.

[앵커멘트]

[기사내용]

Q1> 예산안 의결기한이 임박했습니다.

당초 오늘 예산안이 상정될 것이라는 희망적 관측도 있었는데요.

여야 대치 정국이 더욱 냉랭해졌죠?

예년대로 예산안 심의과정이 이루어졌다면, 어떻게 진행됐을까요?

Q)  새해 예산안 심의과정은?

A> 헌법 제54조 제2항

: 국회에서 회계연도 개시 30일 전(12월 2일)까지 예산을 의결할 것을 규정

Q2> (언급하신 것처럼) 다음 주 월요일 타결은 어려워 보이고요.

연내 타결, 어떻게 보십니까? 가능할까요?

Q)  새해 예산안, 연내타결 가능성은?

Q3> 극적으로 타결된다 해도, 예산안 통과 이후 예산심사(ex.부실심사)에 대한 여러 뒷얘기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요?

Q) 새해 예산안, 심의 시간 충분한가?     

Q4> 예산안이 제때에 통과하지 못할 경우 결국 준예산으로 가게 되는 건가요?

Q) 새해 예산, 준예산 편성 가능성은?

A> 헌법 제54조 제3항

: 새로운 회계연도가 개시될 때까지 예산안이 의결되지 못한 때에는

 비상적 예산집행 제도로서 전년도 예산에 준한 ‘준예산 제도’ 규정

Q5> 헌정사상 초유의 준예산 사태가 벌어지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 건가요?

미국의 셧다운과 맞먹는 사태라는 얘기가 있는데요?

Q> 헌정사상 초유 준예산 편성될 경우 여파는?

Q6> (국민들 사이에서는 정치권 이슈에 파묻힌 정쟁 국회, 세비 받을 자격도 없다 이런 한탄도 나오고 있어요.)

늑장처리가 관행처럼 되풀이되고 있는데요. 여야 정쟁과 나라 살림, 우선은 분리해서 이뤄져야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Q>  관행 된 예산안 늑장처리, 이대로 좋은가?

Q7> 정부가 꼼꼼히 짜 놓은 예산안이지만, 국회의 심사가 필수입니다.

매번 늑장처리, 졸속심사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촉박한 시간 중에도, 국회의 예산심의가

내실있게 이루어지려면 어떤 방안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Q>  새해 예산안, 내실 있는 심사 방안은?

Q8> (교수께서는 올해 2013-2017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을 위한 분과위원회(총괄반)에서 활동하셨는데요)

통과가 시급한 내년도 예산안, 중점 내용 한번 짚어보죠.

2014년 정부예산안의 원칙과 총규모, 어떻게 편성돼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Q> 새해 예산안, 편성 원칙과 규모는?

A>  경제활성화 위해 2014년 예산안 357.7조 원 편성

     (2013년 본예산 대비 4.6% 증가)            


Q9> 2014년 예산안의 역점지원 분야는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방점이 찍혀있습니다. (경기회복세를 뒷받침하고 서민생활 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인 듯 한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사업이 있고 관련 사업에 대한 교수님 의견, 어떻습니까?

Q>  2014년 경제활성화·일자리 창출 사업, 주요내용은?

A> - 민간투자 확충 유도   - R&D · 일자리 · 지역투자 확대

     ‘괜찮은 일자리’ 65만개 지원

Q10> 그런가하면 그동안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재정에 대한 국고지원을 늘려달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해왔지 않습니까?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필요한 부분인 듯 한데요?                 

어떤 의견이시고 내년도 예산안에는 어떤 방안이 마련돼 있나요?

Q>  2014년 지방재정 확충 중요성과 방안은?

A> 중앙지방간 기능 · 재원 조정 방안 (9월 26일)

- 연평균(2014∼2023) 5조 원의 지방재정 확충 방안 마련

Q11> 세입여건이 어려운 상황에서 경제활성화, 복지, 지방재정 등 지출이 늘어나면 무엇보다 재정건정성 확보가 관건일텐데요.

내년도 재정건전화를 위한 방안, 무엇일까요?

Q> 새해 예산안, 재정건전성 확보 방안은?         

Q12> 끝으로, 재정전문가로서 현재 국회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지금까지 원윤희 서울시립대 세무대학원 교수와 함께 새해 예산안 처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