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오늘 향후 5년동안 추진할 스포츠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을 밝혔습니다.
스포츠 산업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하는 게 핵심인데요, 김형규 기자입니다.
[기사내용]
현재 유명 글로벌 스포츠 업체들이 제공 중인 모바일 건강관리 서비스.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운동 내용과 칼로리 소모량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기업의 앱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만 이용 가능했던 이 서비스를 앞으론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김종 / 제2차관 문화체육관광부
"국민 개개인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it 기기 활용해 자신의 운동량이나 칼로리 소모 등 실질적으로 스포츠 액티비티 인덱스 구축"
이를 위한 개방형 스포츠 정보 플랫폼이 2015년까지 구축되고 운동 내용과 체력 정보 등도 측정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개발됩니다.
스포츠 산업과 IT 기술을 접목한 신 사업 진출에 도전하는 민간 기업들도 활용할 수 있는 핵심 기반을 구축하겠단 설명입니다.
또 기존의 스크린 골프장같은 '체감형 가상스포츠' 콘텐츠를 야구·축구 등 많은 국민들이 즐기는 10대 유망 종목에도 도입합니다.
3D·4D 기술을 활용한 가상 체험 기술 개발과 사업화 계획을 지원해 가상 스포츠 시장의 규모를 확대하겠다는 겁니다.
이 밖에도 인기스포츠에만 편중된 중계방송 사업의 약점을 보완해 유튜브 등 인터넷과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한 비인기 스포츠 중계 방송을 확대하고 프로스포츠 2군 리그와 대학리그 등 다양한 스포츠 콘텐츠가 활성화되도록 촉진하겠단 방침입니다.
김종 / 제2차관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 유망 기업 2018년까지 20개 정도 발굴할 예정 미래 선도형 스포츠 강소기업을 100개 정도 육성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갖추게 하겠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앞으로 총 2740억원을 투입해 국내 스포츠 산업규모를 2018년까지 37조원에서 53조원으로 확대하고 관련 일자리도 23만개에서 27만개로 늘리겠다는 계획입니다.
KTV 김형규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10 (2013년~2015년 제작) (124회) 클립영상
- "경북, 창조경제·문화융성 선도할 수 있는 곳" 3:01
- 박 대통령 석굴암 방문…보존실태 점검 1:46
- 박 대통령, 검찰총장·복지장관·감사원장 임명 0:25
- 靑 "경제활성화 위해 부동산법안 통과돼야" 0:31
- 스포츠산업에 IT 기술 접목···일자리 27만개 2:23
- U-20월드컵 유치 지원 정부대표단 파견 0:23
- "내년부터 '도로명주소' 사용하세요" 3:25
- 에이즈 감염자 1만 명 넘어···사회적 차별 없애야 1:28
- 한국 전통무용 대가 임이조 선생 별세 0:26
- 뉴욕 열차 사고···한국인도 1명 사망 0:29
- 일과 가정 양립, 지원방안은? [라이브 이슈] 1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