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농·생명산업 증설, 국립종자원 [집중 인터뷰]
등록일 : 2013.12.17
미니플레이

[기사내용]

미래 세계 각국의 식량전쟁은 치열해질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우리 농·생명산업의 근간인 종자의 개발과 보급, 유통을 담당하는 곳입니다.

신현관 국립종자원장과 함께 우리나라 종자산업의 현재와 미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사내용]

Q1> 먼저 농업에서 종자산업의 중요성.

어느 정도인지 짚어주시죠.

Q)  종자산업의 중요성은?

Q2> 세계 종자 시장 규모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 종자산업의 현황, 어떻습니까?

Q)  우리나라 종자산업 현황은?

A> - 세계 농작물 종자시장 규모 450억 달러, 종자 무역량 82억 달러

    - 연평균 5.2% 성장세

A> 국내 종자산업 시장규모 약 5,800억 원 추산 (세계 15위)

Q3>품목별로 자급율이 높은 품종과 해외 의존도가 높은 품종이 있지 않습니까?

Q) 韓 종자시장, 국내 품종 vs. 외국 품종 비율은?

A>  국내개발품종 자급률

    - 식량 98%, 채소 95%, 과수 23%, 화훼 10%

Q4> 우리나라 종자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곳입니다.                        

국립종자원. 내년이 40주년이 되는 해죠?

어떤 곳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Q)  국립종자원, 소개와 역할은?

A> 국립종자원

: 종자관리 · 서비스 전문 국가기관 (1974년 설립)

A> 국립종자원 주요 업무

- 벼, 보리, 콩 등 주요 식량작물 고품질 종자 생산 · 공급

- 신품종 육성자 권리 보호 · 품종개발 촉진

A> 국립종자원 주요 업무

- 불법 · 불량 종자 유통 방지

- 민간종자개발 촉진 지원 · 국내외 홍보 등

Q5> 종자 품질 관리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와 보급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에는 정부보급종이 있죠?

정부보급종 현황과 중요성 말씀 부탁드립니다.

Q>  우리나라 정부보급종 현황과 중요성은?

A> 정부보급종 현황

벼 23품종, 보리 9품종, 콩 9품종, 밀 3품종 등

A> 정부보급종

- 우량종자 사용 통한 농업생산력 증대와 고품질 농산물 생산

A> 정부보급종

- 일반 자가채종 종자 비해 증수효과 탁월

 (벼 6%, 보리 12%, 콩 10%, 감자 50%, 옥수수 65%)

Q6> 종자시장 또한 세계 시장 개방에 대비해야할 것 같은데요. (앞서 잠깐 언급하셨는데) 우리나라에는 식물 신품종보호제도가 있다고요? 설명해주시죠.

Q>  국립종자원 ‘식물 신품종보호제도’란?

A> 식물 신품종보호제도

- 특허권·상표권과 유사한 품종보호를 위한 지식재산권의 한 형태

- 1997년 도입, 2002년 국제신품종보호동맹(UPOV) 50번 째 회원국 가입

Q6-1> 제도 도입 이후 몇 건의 신품종이 등록됐습니까?

Q>  식물 신품종보호제도 도입, 효과는?

A> 2013년 12월 현재, 품종보호권 등록 총 4,700여 품종

   (75%가 국내 신품종)

Q7> 국내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책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Q> 우리나라 종자산업 육성 지원책은?

A> 정부 민간 합동 <Golden Seed Project>

   - 2012년~2021년까지 4,911억 원 투자

  - 수출가능 품종 10개, 수입대체 가능품종 10개 개발 목표

A> 민간육종가 품종개발 지원·홍보

- 신품종 개발 장려금 (품종 당 4백만 원) - 해외 출원·등록비용 지원

 (품종 당 5백만 원) - 특수검정비용 지원 - 해외연수 지원 등             

Q8> 좋은 국내 품종의 수출도 장려해야할 것 같은데요?

어떤 방안이 마련돼 있습니까?

Q> 국내 우수 품종, 해외 수출 지원 방안은?

A>- 해외 품종전시회와 박람회 출품 지원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  국제종자검정협회(ISTA) 인증 실험실 운영 등

Q9> 국내 품종의 우수성을 유지하고 세계 경쟁력을 키우려면 종자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어떻습니까?

Q> 국내 종자전문가 양성, 추진 내용은?

A> 국내 최초 종자전문 민간인 대상 ‘종자관리 전문가 과정’ 운영

A> - 종자검사원 역량강화 프로그램 ‘종자검사경진대회’ 시행

    - 특별사법경찰·유통조사공무원 직무교육 실시(법무연수원 위탁) 등     

Q10> 다양한 활동을 해오셨는데요.

2014년 국립종자원의 주요 계획은 무엇일까요?

Q>  2014년, 국립종자원 주요 추진 사업은?

Q11> 끝으로 국립종자원장으로서의 포부 말씀 부탁드립니다.

[기사내용]

지금까지 국립종자원 신현관 원장과 함께 국립종자원의 역할과 주요 사업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