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 주요 내용은? [집중 인터뷰]
등록일 : 2013.12.18
미니플레이

지난 10일, 앞으로 5년간 우리나라 방송 산업 구조의 밑그림이 될 방송 산업 발전 종합계획’이 발표됐습니다.

창조경제 시대에 발맞춘 다양한 성장전략이 마련됐다고 하는데요.

이번 종합계획 수립에 참여한 전문 연구기관입니다.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이재영 방송미디어시장 그룹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앵커멘트]

Q1> 이번에 발표된 방송 산업 발전 종합계획, 정부 차원의 방송관련 종합계획은 14년만입니다.

우선 추진 배경부터 말씀해주시죠.

Q)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 추진 배경은?

A> - 2000년 이후 최초의 중장기 방송산업 발전 전략

 - 방송산업 잠재력 극대화 위한 방송산업 발전의 청사진 마련

Q2> 이제까지 발표된 방송발전 계획과 비교해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Q) 지난 방송발전 계획과 차이점은?

A> 세계 시장 규모

 - 방송 3,728억 달러  - 반도체 2,993억 달러  - 가전 2,643억 달러

Q3> 우리나라 방송 산업, 상당히 다양화되고 규모가 커졌는데요.

성장 현황 말씀 부탁드립니다.

Q) 우리나라 방송산업 규모, 현황은?

A> - 2012년 말 기준, 13조원 규모 형성

 - 최근 5년간 연평균 10% 씩 성장

Q3-1> 규모가 커지는 만큼 우리 방송의 생태계도 상당히 급변하고 있죠?

Q) 우리나라 미디어 환경, 변화상은?

Q4> 종합계획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향후 5년간의 방송 산업 밑그림, 5대 전략이 있는데요.

먼저 방송산업 규제혁신 전략 설명해주시죠.

A> - 방송 사업자가 자유로운 기술 방식 선택 (전송방식 혼합 사용 허용)

 - 지상파 난시청 해소 지원, 아날로그 케이블TV 디지털 전환 등   

Q4-1> 전송 방식과 관련하여 유료방송 사업자간에도 의견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Q> 방송전송 방식 관한 사업자간 이견, 조정은?

Q4-2> 규제혁신 전략 안에 수신료 문제도 있습니다.

여야 입장 대립이 있는 부분이기도 한데요? (어떤 당위성을 갖고 있는지?)

Q> 공영방송 수신료 인상안, 의견은?

Q4-3> 주요 청사진으로 ‘방송광고 제도개선 로드맵’이 얘기되면서 중간광고나, 지상파 광고 제한이 많이 완화되는 것이냐- 관심이 많았습니다. 어떻습니까?

Q> 방송광고 제도개선 로드맵, 중간광고 허용되나?

Q5> 두 번째 방송콘텐츠 활성화 전략은 창조경제와 맞닿아있는 듯 합니다.

어떤 내용인지 설명해주시죠.

A> - 유료방송 요금규제 개선  - 미디어 창의인재 육성 창업활성화

- 제작인프라 지원확대 (빛마루(‘13), HD드라마타운(’16) 조성) 등  

Q6> 스마트 미디어가 대세인 요즘인데요.

이와 관련된 전략도 있죠?

A> CPND :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단말기(디바이스)

Q7> 급변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차세대 방송 인프라 구축. 방송산업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일 것 같은데요.

어떤 전략과 추진 과제가 마련돼 있습니까?

A>- 3D, UHD 등 체감형 실감 미디어 산업 육성

 - UHD 방송 콘텐츠 제작 지원, 기술개발 전략 추진

Q8> 방송을 통한 한류의 확산. 현재까지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입니다.

우리 방송의 지속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어떻게 마련돼 있습니까?

A> 글로벌 프로듀싱 전략 : 해외 시장을 1차 판매시장으로 하는 적극적 해외 진출 전략Q9> 이번 종합계획 추진을 통한 경제적 효과, 어떻게 파악되고 있습니까?

Q>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 통한 경제적 효과는?

A> - 방송시장 규모 : 13.2조 원 (‘12년) → 19조 원 (’17년)

 - 고용 규모 :  3만 4천 명 (‘12년) → 4만 4천 명 (‘17년)

Q10> 방송산업 발전 종합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남은 과제가 있다면 무엇이고, 방송산업 성장을 위해 민관이 어떤 노력을 견지해야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Q>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 추진 위해 남은 과제는?

지금까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재영 방송미디어시장 그룹장과 함께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  주요 내용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