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기후변화·에너지문제 적극 대응 [여기는 세종]
등록일 : 2014.02.11
미니플레이

에너지자원이 부족한 나라의 오명을 벗어 버리기 위한 지난 37년 동안의 노력이 잇따라 결실이 맺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기술과 태양광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박막기술개발로 세계의 관심을 한데 받고 있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있는데요.

이충현기자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 다녀왔습니다.

이충현>

에너지자원 빈국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 1977년 에너지기술연구원이 설립됐습니다.

우리나라 에너지기술 현주소를 알아보기 위해서 오늘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1>Q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소개?

어서 오세요.

굉장히 오랫동안 계셨던 것으로 제가 알고 있는데요.

우리 연구원 자랑 한 번 간단히 해주시죠.

답변>

우리 연구원은 1977년에 설립된 이래로 에너지 효율 향상기술과 신재생에너지 기술, 그리고 이산화탄소와 관련한 CCS 기술 개발 등에 대한 연구를 쭉 해오고 있습니다.

실적도 상당히 많습니다.

이충현>

대표적인 기술 말씀해 주시겠어요?

답변>

네, 대표적인 기술이라고 하면 우리가 많이 볼 수 있는 LED 기술, 그리고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콘덴싱보일러가 우리 연구원이 개발한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질문2>Q 에너지기술 개발 체계와 수준은?

이충현>

아 그렇군요. 일상생활에서 접목해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이 개발된 듯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에너지기술 개발 체계가 궁금합니다.

요즘엔 에너지 전쟁이라고 해도 표현이 부족할 정도로 아주 치열한 전쟁을 치르고 있거든요?

어떤 체계로 연구되고 있고, 우리나라 에너지 기술개발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말씀해주시죠.

답변>

기후변화, 에너지와 환경문제가 지속 가능한 미래성장의 핵심이슈로 재부각되면서 세계 각국은 신재생에너지 기술 수준 향상과 보급확대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효율 향상과 온실가스 처리기술 등에 대한 연구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우, 2010년에 에너지 R&D에 총 4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2011년에는 52억 달러를 투자했습니다.

일본과 독일도 에너지 기술개발에 투자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에도 R&D 예산은 2006년 4천억 원에서 2011년 약 8천억 원으로 6년 동안 2배가량 증가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효율 분야 등에 대한 투자는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질문3>Q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성과는?

이충현>

지난 37년 동안 다양한 기술 개발하셨는데, 아까 말씀하신 신호등도 LED도 있고, 그리고 콘덴싱보일러 이야기도 해주셨는데 조금 더 자세히, 그리고 다른 성과들도 함께 말씀해주시죠.

답변>

대표적인 성과로는 LED 교통신호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전국에 200만 개 이상 보급된 우리 연구원의 대표적인 성과 가운데 한 가지입니다.

그리고 가정용 콘덴싱보일러의 경우에는 6천억 원 정도의 기술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국내 최고의 효율을 자랑하는 CIGS 박막 태양전지를 들 수 있습니다.

CIGS란 구리, 인듐, 갈륨, 셀레늄의 약자인데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면 태양광의 발전효율이 20%까지 달성할 수 있는 그런 획기적인 기술입니다.

질문4>Q 환경·에너지문제 동시 해결방안은?

이충현>

네, 올해 대통령 신년기자회견에서도 환경, 에너지환경분야의 중요성을 언급하셨거든요?

그만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환경과 에너지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조금 필요하지 않을까? 있을 것 같습니다.

어떤 내용이 준비되어있는지요?

답변>

2014년은 우리 연구원 기술개발 목표를 기후변화목표와 에너지문제 대응에 기본적인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에너지 분야의 현업문제들에 대한 고려 역시 포함될 것입니다.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에너지와 환경문제에 기여 할 수 있는 연구분야로, 에너지 효율 향상분야 비중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신재생 에너지가 미래 사회의 궁극적인 에너지 원이자 환경문제의 대안 가운데 하나인 만큼. 우리 연구원이 핵심역량을 부여하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지속 적으로 연구를 추진해 나아갈 계획입니다.

대통령께서 직접 언급하신 온실가스저감 기술 핵심인 온실가스 포집 기술은 우리 연구원이 세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분야로써, 미래성장 동력 창출을 목표로 핵심기술을 육성해 나갈 것입니다.

질문5>Q 향후 업무 추진 계획은?

이충현>

올해 특히 바쁜 일정 보내실 것 같고요.

앞으로 업무추진 방향도 궁금한데요, 올해 목표 그리고 앞으로 계획 말씀해주시죠.

답변>

에너지는 한 사회의 삶의 수준을 결정할 뿐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안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 연구원은 국가성장동력 창출과 다가오는 미래세대를 위한 에너지기술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특히, 미래지향적인 도전적인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도록 노력해 나아갈 것입니다.

에너지 기술은 에너지 생산으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적용 처에서 다양한 용도의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좁은 범위에서의 선택과 집중보다는 넓은 범위에서 다양한 기술을 융합하는 형태의 기술개발에 무게를 둘 것입니다.

아울러 국정과제인 복지향상과 관련하여 에너지 복지에 관한 기술개발에도 역점을 둘 것입니다.

특히, 불의의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기술, 빈곤층과 서민층의 에너지복지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정기술과 차세대 기술개발을 연구포트폴리오에 반영하고자 합니다.

이충현>

네, 오늘 다양한 이야기들 많이 담아주셨는데요, 에너지가 그만큼 소중한 부분이고, 또 친환경적인 부분으로 개발되어야 할 당위성이 있다는 얘기로 이해했습니다.

오늘 도움 말씀 주신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 이기우 원장과 함께 했습니다.

에너지는 한 세대의 삶의 수준을 평가하는 바로미터로 환산할 수 있겠는데요.

우리가 보다 안전하고 알뜰한 에너지환경 만들어갈 수 있도록 힘을 썼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KTV이충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