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국가보훈처, 제대군인 취업지원 강화 [여기는 세종]
등록일 : 2014.03.19
미니플레이

남>

전역을 앞둔 군인들에게 가장 큰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일자리인데요,

여>

오늘 여기는 세종시간에는 제대군인을 위한 취업지원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정부세종청사 국가보훈처에 나가있는 이충현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충현 기자 나와주세요.

이충현 기자>

나라를 위해 열심히 자신의 몸과 정성을 바쳐서 헌시하신 분들이 바로 군인 분들입니다.

그런데, 이런 분들이 정년을 맞이하고, 사회에 다시 돌아가서 제 역할을 하려면 모든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겁나기 마련인데요.

이런 부분에서 완충역할도 해주시고, 또, 정확한 일자리까지 연결해 주시는 정부부처가 있습니다.

바로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인데요.

오늘은 박종왕 국장 모시고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Q 제대군인 '취업지원' 방향은?

이충현 기자>

국장님 우선 이 제대군인취업지원 방향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거든요?

박종왕 국장 /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

답변>

우선, 취업지원 방향을 설정하려면 우선 우리 제대군인들의 취업환경을 먼저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최근에 제대군인들에 대한 취업환경을 보면 제대군인들의 전문성 부족문제라던가, 평균 45세에 이르는 제대군인들의 그러한 연령문제.

그리고 한창 지출기에 해당하는 그런 연령대에 사회로 복귀해야하는 데에 상응한 적정 급여지급 문제에 대해서 우리 사회가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환경입니다.

이런차원에서 우리 제대군인국 나아가서 우리 정부의 취업지원 방향을 보면, 우선 전문성 문제라던가 취업능력부족문제 해결을 위해서 우선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거나 또는 인턴십을 강화해서 취업역량을 높여주는 방향으로 해서 먼저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요.

다음 연령문제라던가 적정임금 지급 문제, 그리고 제대군인들의 희망까지도 고려를해가지고

다음 두 번째로는 취업지원대상을 크게 둘로 구분해서 지원 방향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즉, 연금을 받으시는 분들과 받지 못하시는 분들고 구분을 해서 연금을 받으시는 분들은 가급적 보람을 느끼시는 그런 일자리 위주로, 그리고 연금을 받지 못하시는 분들은 실질적으로 생계를 꾸려가셔야 되기 때문에 생계형 일자리를 마련하는 주안을 두고 취업방향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취업지원시스템도 전역 전과 후를 잇는 그런 원스톱 체계를 국방부와 연계 해서 마련해 나아가고자 지금 개선을 해 나아가고 있고요.

이를 위해서 우리 정부가 '제대군인에게 감사와 일자리를' 이라는 이런 슬로건을 내세우고 적극 적으로 지원하고자 이렇게 애쓰고 있습니다.

Q 제대군인 취업 지원 성과는?

이충현 기자>

그렇군요.

취업지원방향이 분명히 바로 서 있고 그대로 실천되고 있는데요.

그동안의 취업성과도 적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동안 어떤 성과를 보이셨는지 한번 종합해주시죠?

박종왕 국장 /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

답변>

지금 우리 정부는 제대준인에게 안정적인 그러한 일자리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 역대정부 최초로 제대군인 일자리 확보를 국정과제로 채택하고 의지를 표명한 바 가 있습니다.

그래서 2017년 까지 5년 내에, 제대군인 일자리 5만 개를 확보할 그런 목표를 갖고 국방부, 안전행정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등이 주로 참여하는 범 정부적인 제대군인 지원 협의체를 구성 해 가지고, 현재, 세부계획을 수립해서 취업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작년 말 현재로 해서 약 2만 5천여 개의 일자리를 확보한 바가 있습니다.

아직 좀, 제대군인 여러분 들이 직접 체감하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앞으로 상당한 이런 성과를 거두지 않을까 이렇게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Q 올해 제대군인 취업 지원 계획은?

이충현 기자>

이제 올해 특히 제대군인 취업 관련해서 어떤 업무계획 갖고 계신지, 마무리 말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박종왕 국장 /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

답변>

부처 간의 협업 강화를 통해서 금 년 말까지 3만 개의 일자리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우선 국방부는 국방개혁과 연계해서 군내 아웃소싱 직위를 확대함으로 인해서 제대군인의 취업을 달성을하고,

이충현 기자>

전문성을 조금 더 살려서 취업을 시킨다는 의미겠죠?

답변>

그렇습니다.

그리고 안전행정부는 비상대비 업무지구에 조금 더 많은 제대군인들이 취업할 수 있도록 직위들을 확대해 나아가는 그런 노력을 하도록 하고 있고

고용노동부와 저희 국가보훈처는 고용센터와 제대군인 취업지원 센터 등이 서로 협업을 통해서 민간분야에서 조금 더 제대군인에게 적합한 그런 양질의 일자리를 대대적으로 발굴해 나아가자 하는 이러한 노력을 해가고 있습니다.

우리 국민과 사회 모두가 제대군인들이 군 복무를 통해서 정말 투철한 충성심.

또는 성실성, 책임감을 이렇게 체득한 정말 우수한 자질을 갖춘 그러한 인재라는 것을 같이 인식을 하고.

또, 이러한 제대군인들이 젊음을 바쳐서 국방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한 것을 높이 인정을 하고 전역하는 제대군인들에게 정말 감사하고, 일자리를 또는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위한 지원을 우리가 해야 될 필요가 있다 하는 그런 공감을 가지고 함께 해주셨으면 하는 바람이고.

그것을 위해서 저희 제대군인국을 비롯한 정부의 각 부처들은 함께 협업을 해서 꼭 제대군인들이 정말 몸으로 느낄 수 있는 그러한 지원 또는 일자리를 만들어내려고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이충현 기자>

네, 많은 제대군인들 그리고 전역을 앞둔 군인들에게 가장 관심사가 되고 있는 부분이기도하고 또, 그만큼 체계적으로 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오늘 전달이 됐으니까요.

제대군인 취업지원센터로도 많은 연락이 갈 것 같습니다.

오늘 도움말씀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국가보훈처 제대군인국 박종왕 국장과 함께 했습니다.

나라를 위해 자신의 생명, 그리고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기회를 몸바쳐 일해온 군인들이 있습니다.

바로 이분들의 취업이 그분들 가족 그리고 우리나라를 위한 최선의 복지임을 다시 깨닫게 하는 순간이었습니다.

이런 취업의 기회가 더 늘어날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합니다.

여기는 세종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